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양생물에서 유래한 항비만 효과를 가진 생리 활성물질

전문가 제언

에너지 흡수와 소비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되는 비만(obesity)은 체내 지방이 건강을 해칠 정도로 과도한 수준으로 존재하는 것을 말하는데, 2006년 보건복지부 비만 심포지엄에서는 한국인의 비만 기준을 체질량지수(BMI) 25kg/m² 이상으로 정의하였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 뇌졸중, 심혈관계 질환, , 관절염, 불임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세계 비만인구는 1980년 이후 30년 새 2배 이상 늘어났으며, 우리나라 도 2010 국민 건강 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율은 30.8%이었다. 이는 인스턴트식품 섭취의 증가와 운동부족에 기인한 것으로 본다. 세계 비만 관련 시장은 2014년 기준 연간 3,000억 달러이고, 직접 의료 비만도 천억 달러 이상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해양생물에 존재하는 건강 유용물질에는 다가불포화 지방산, 단백질/펩티드, 다당류, 폴리페놀, 사포닌, 스테롤, 색소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물질은 미생물, 해조류, 무척추동물(갑각류, 해면동물, 해삼, 우렁쉥이), 척추동물 등에 존재한다. 해양생물에서 추출한 항비만성 물질로는 지질류, 다당류, phlorotannin, 카로티노이드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보리에 들어있는 베타글루칸의 항비만 효과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된 바 있는데, 베타글루칸은 지질대사를 개선하여 체지방 형성과 축적을 억제함으로써 항비만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해양생물 중의 지질은 대부분 연어, 참치, 고등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대부분 n-3 다가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 물질을 섭취하면 체질량 지수를 낮추어 주는 효과에 대해서도 검토한 바 있다.

 

앞으로 국내에서도 해양생물에서 유래한 항비만성 물질의 탐색은 더욱 활성화 될 것이고, 이를 이용한 식품개발도 활발해질 것으로 본다. 따라서 이미 알려진 키틴, 키토산, n-3 PUFA 등을 첨가한 식품에서는 이들의 비만방지 효과를 표시하는 방법도 검토해야 할 것이며, 관련 연구기관이나 업계에서도 항비만 식품개발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자
Xiaoqian Hu , Ningping Tao , Xichang Wang , Jianbo Xiao, Mingfu Wang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6
권(호)
21()
잡지명
Journal of Functional Foo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72~387
분석자
장*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