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음극 플라즈마 전해전착에 의한 나노결정의 크롬도금 기술

전문가 제언

200671일부터 유해물질 사용 제한지침(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이 발효되면서 6가 크롬의 사용규제에 따라, 이에 대처하기 위해 국내에서도 6가 크롬 대체기술의 개발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Cr 전기도금에 대한 적당한 대체재로 Sn/Co, Sn/Ni, Ni/W, Co/W, Co/P 등 비크롬계의 표면처리에 대한 여러 가지 실적 및 실용화 단계가 시도되었다.

 

3가 크롬도금은 6가 크롬 도금에 비하여 유독가스가 발생되지 않으며 6가 크롬의 환원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폐수처리 비용이 적고 환경오염에 대한 부담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도금 약품 비가 높으며 금속농도가 낮고 전류밀도도 낮기 때문에 생산이 떨어진다. 3가 크롬도금은 6가 크롬에 비해 경도, 내마모성 및 색상 면에서 6가 크롬에 크게 뒤져 실제로 도금현장에서 큰 각광을 받지 못하고 있다가, 최근 적극적으로 개선된 제품을 출시하여 여러 도금회사에서 성공적으로 적용해 나가고 있다.

 

6가 크롬도금에 대한 대체 표면처리로 전세계적으로 3가 크롬도금이 개발이 활발히 시도되어 왔다. 국내에서는 장식용 3가 크롬도금이 2004년부터 상용화되었고 일부 도금업체는 개발 생산중에 있다. 2007KIMS 재료연구소에서는 자동차 플라스틱 외장용품에 3가 크롬도금의 적용을 시도한 이후, 현재 경제성이 높은 3가 크롬도금액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확립하여 중소도금업체로부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3가 전기크롬 도금피막은 6가 전기크롬 도금피막에 비해 미세균열이나 기공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 윤활, 댐핑, 마모, 내부식성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니켈언더코팅, 이중도금, 펄스 도금 등의 다양한 도금방법과 열처리나 후처리를 겸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음극 플라스마 전해전착(CPED; Cathode Plasma Electrolytic Deposition)에 의한 나노결정의 전기크롬 도금기술은 국내 중소도금 업체에서 폐수처리 생략형 친환경 도금기술 정착에 절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Cheng Quan, Yedong H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269()
잡지명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9~323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