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열간와이어를 이용한 후강판의 경사 레이저용접 기술

전문가 제언

지금까지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선박건조 시에 중후강판을 접합시키기 위해서 일례로, 일렉트로가스 아크용접이 적용되었는데, 높은 입열량으로 인하여 인성의 감소를 초래하여 왔다. 이를 개선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후강판(KE47 강판, 두께: 26mm)에 대하여, 경사 레이저 조사(irradiation)와 단일(single) 열간와이어를 이용한 싱글패스 수직 용접공정 기술을 확보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낮은 희석률과 균일성이 확보되고 결함 발생률을 적어, 향후 선박건조 시에 후강판의 레이저용접기술의 적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컨테이너선박이 대형화될수록, 특히 20,000TEU를 초과하는 용량의 대형 컨테이너선박의 건조 시에는 더욱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는 후강판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후강판에 대하여 고효율 용접속도를 갖추고 용접결함 발생률이 매우 낮은 최신 레이저용접기술의 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점에 국내 조선업계에서는 본 논문에 소개된 열간와이어를 이용한 후강판의 경사 레이저 조사 기술을 정착시켜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2015년 한진중공업에서는 세계 최대급인 20,600TEU급 극초대형 컨테이너 운반선 3척을 프랑스 CMA-CGM으로부터 수주받는 것을 기점으로 국내 조선업계는 20,000TEU급 이상의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의 초대형 및 고부가가치 시장의 진입에 접어들었다. 이러한 시점에 고능률이고 용접결함이 없는 고밀도 에너지빔의 사용에 의한 고품질이 용접강판 및 강관의 레이저용접기술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경사 레이저 조사 기술에서는 최종의 경사각의 범위를 규명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15° 경사인 경우에는 0°(수직)와 거의 낮은 수준으로 낮은 희석률과 균일성을 나타냈었으며, 용접비드 형상도 거의 같았으며 결함률이 약 20% 정도였으나 30° 경사인 경우에는 소량의 모재금속 용융이 발생하였으며 결함률이 76%로 급격히 증가하여 적당한 경사각의 범위가 아니라는 결론을 얻었다. 이외에도 레이저 위빙(weaving)의 효과, 열간와이어의 성분, 온도, 직경의 최적 범위를 검토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자
Eakkachai Warinsiriruk,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33(4)
잡지명
溶接學會論文集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26~331
분석자
유*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