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D1.1:2015 용접규격의 새로운 내용
- 전문가 제언
-
○ AWS에서 작성하여 배포된 AWS D1.1/D1.1M:2015 용접코드는 선박, 해양구조물, 발전설비, 건축구조물 등과 같은 철강 용접구조물의 제작에 필요한 용접이음부의 설계, 용접작업 절차서의 인증(Prequalification &, Qualification), 용접사의 작업능력에 대한 인증(Qualification), 용접시공, 용접검사 및 합격/불합격 판정 기준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 AWS의 D1 Committee on Structural Welding는 산업계로부터의 새로운 제품과 작업환경에 맞는 규격의 필요성에 따라 용접코드의 세부항목을 개정 또는 보완하고 있으므로 산업계는 발표되는 관련 내용들을 (http://pubs.aws.org/p/1650/d11d11m2015-2nd-printing-structural -welding-code-steel) 사전에 파악하고 숙지하여 최고의 품질을 갖춘 철강 용접구조물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 선박의 건조에서 용접은 필수적인 생산기술이다. 수만 개의 철강부품으로 만들어지는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의 경우 용접선이 900km에 달하기 때문에 용접부의 우수한 품질이 요구된다. 또한 선박, 건축철골구조, 발전플랜트, 중화학설비 등을 현장에서 용접할 때는 휴대와 조작이 편리한 초음파 탐상법으로 용접부의 비파괴검사를 많이 수행하게 된다. AWS D1.1을 적용하는 경우, 탐상면 근방 결함의 검출과 결함의 판 두께 방향의 치수 측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최신 탐촉자(집속 사각 탐촉자, 표면 SH파 탐촉자, TOFD용 종파 사각 탐촉자 등)의 원리와 적용방법을 정확히 파악해야 하며, 이음부의 종류, 정하중 또는 동하중의 형태, 모재의 두께, 결함 상태(discontinuity severity class)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함을 정확하게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 우리나라의 선박?해양산업, 에너지산업, 건축구조물 등과 같이 구조용 철강재료를 사용한 용접구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대한용접?접합학회를 중심으로 용접규격위원회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독자적인 철강용접구조물 KS 용접규격을 제정하고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 저자
- Thomas J. Schlafly and Duane K. Mille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6
- 권(호)
- 95(1)
- 잡지명
- Weld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4~48
- 분석자
- 김*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