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을 위한 인지 M2M 통신
- 전문가 제언
-
○ M2M 응용들은 건강관리, 차량관리, 홈 자동화 등 여러 분야에서 이미 출현되어 왔고 M2M통신 활성화를 위하여 2011년 5월 정부는 사물지능통신(M2M) 테스트베드인 사물지능통신 종합 지원센터를 개소한 바 있으며 한국 스마트 그리드 협회는 세계 최대 규모의 종합적 스마트 그리드 신기술 실증 단지를 제주에 구축하여 기술 개발하는 등 활발한 움직임을 보여 왔다.
○ 한편 정부는 사물인터넷(IoT) 분야의 국가 경쟁력 강화 및 서비스 촉진을 위하여 2010년 사물인터넷을 7대 스마트 신산업 육성 전략에 포함하고 한국 사물인터넷 협회 등 여러 기관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 사물인터넷의 미래 비전은 향후 발생될 수 있는 대규모 장치, 실제와 가상세계와의 연결, 시스템 개방과 개인정보 보호 및 보안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감지, 작동, 통신, 제어 그리고 방대한 양의 데이터에서 지식을 만듦으로서 질적으로 다른 생활양식으로 귀착되는 것이다.
○ M2M 통신은 사물인터넷 (IoT)의 실질적인 실현을 위한 가능한 기술로서 역할을 한다. IoT의 이 비전은 수십억 개의 일상 객체와 주변 환경이 통신 네트워크 및 클라우드 기반 서버의 범위를 통해 연결되고 관리될 것이다. 한편, 인지 M2M(인지 무선기술을 채용한 M2M) 통신은 IoT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불가결 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수의 연결된 장치는 스펙트럼 부족의 관점에서 주요 도전 과제가 된다. 인지 M2M은 스펙트럼 부족 뿐 아니라 간섭 관리, 에너지 효율 및 장치 이종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이 논문에서는 인지 M2M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대한 새로운 표준화 노력과 최신 개발을 다룬다. 또한 중앙 집중식 인지 매체 액세스제어 (MAC) 프로토콜, 분산된 인지 MAC 프로토콜 및 인지 M2M 네트워크를 위하여 특별히 디자인된 라우팅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영역에서 저자의 최근 작업을 제시한다.
- 저자
- Adnan Aijaz, and A. Hamid Aghvam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2(2)
- 잡지명
- IEEE Internet of Things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03~112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