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위한 손목 띠 지원구조
- 전문가 제언
-
○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필요한 부위에 자유롭게 착용하여 생체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최초의 웨어러블 기기는 군사기술 분야에서 사용되었으나 여러 가지 기능상의 제한요인으로 인해 기술적 한계를 나타냈다. 이후 웨어러블 기기는 스마트기기의 급속한 대중화와 스마트 정보처리 기술과 접목되어 모바일 정보서비스 시장이 형성되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 이 특허기술에서 제시하는 지원구조는 내부요소와 외부요소를 아우르는 띠 형태를 유지하고 이 둘을 안테나로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유무선 네트워킹이 가능하다. 아울러 안테나는 그라운드 평면과 신호전송 모듈을 통해 그라운드 평면과 외부요소에 배치되어 유연한 프린트 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존의 회로설계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상용화의 장점이 있다.
○ 지원구조는 착용 가능한 띠를 형성하고 띠는 지원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어 기기의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지원 어셈블리는 내부요소와 외부요소가 한 쌍으로 존재하고 이 둘은 공간으로 분리된 관계를 형성하고 서로 측면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끝단에 연결한 점도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국내 밴드형 웨어러블 기기의 외관 설계분야에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신체측정 데이터는 생활습관이나 건강정보 등 헬스 케어 분야의 빅 데이터로써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특히 밴드의 재질이 유연하고 스마트기기와 통신이 가능하며 손목에 국한하지 않고 목, 허리, 팔뚝, 다리 등에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향후에는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특허기술과 같은 유연성과 확장성을 갖춘 웨어러블 기기의 외관설계 기술력을 벤치마킹 하여 국내 관련 업계에 파급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글로벌 웨어러블 디바이시장선점을 위한 관련 기업의 원천기술 개발 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FILIP TECHNOLOGIES,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6
- 권(호)
- WO2016003693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5
- 분석자
- 김*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