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최근 착용형 로봇(Exoskeleton)의 발전

전문가 제언

이 자료는 군사용 및 민생용(산업 및 의료용) 착용형 로봇의 개발동향에 관한 것으로 국제저널 Industrial Robot (Vol.42, No.1, 2015)지에 실린 Robert Borgue“Robotic exoskeletons: A review of recent progress”를 소개한 내용이다.

 

“Exoskeleton(robotic exoskeleton)”은 신체의 운동기능 보조용 착용형 로봇의 의미로 국내에서는 외골격 로봇으로도 표기하며, 일본에서는 장착형 로봇으로 쓰이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훈련병의 운동력 보조, 부상병의 재활용 등 군사용으로 개발되어온 것이 현재는 민생용 특히 의료용 착용로봇 시장이 확대되는 추세다.

 

국방부 DARPA 프로젝트에 의한 군용 착용로봇기술의 민생이전으로 의료용 착용로봇의 시장진출에서 선두위치에 있는 미국은 고령화와 신체장애자의 증가추세에 대응하여 ReWalk Robotics사의 ReWalk RehabilitationReWalk Personal, Rex Bionics사의 REX Rehab REX Personal 등 재활의료와 근력보강용의 시스템 임상시험과 FDA승인을 끝내고 판매 중이며, 유럽과 일본, 국내에도 진출한 상태다.

 

일본의 경우, Tsukuba대학의 spinoff기업인 Cyberdyne사의 의료용 HAL (Hybrid Assistive Limb) 유닛이 임상 사용승인을 받고 병원과 간병기관에 공급되고 있다. 파워 슈트인 HAL은 뇌에서 근육으로 전달되는 근전신호를 검출하여 동작을 지령하는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시스템으로 해외진출을 위해 ISOEU의 인증을 받은 바 있다.

 

국내는 산학연에서 꾸준히 요소기술을 개발해왔고, 지난 수년 동안 국가R&D프로젝트로 다수의 의료용 착용형 로봇기술과제를 추진하여 요소기술을 축적해온 상태다. 최근 H자동차사가 미국에서 ReWalk Personal과 유사한 H-LEX를 발표하여 주목을 끌었다. 향후 센서, 동력원, 무선송전, 액추에이터, 구성재료, 안전성확보, BMI기술 응용 등이 해결해야할 주요과제이며, 시장진출관련 특허와 브랜드전략이 필요하다.

저자
KASUDA Yoshihir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5
권(호)
2015(225)
잡지명
ロボッ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2~46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