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로봇과 융합하는 일본의 건설업

전문가 제언

경제인구의 감소와 저출산/고령화사회로의 급속한 진입현상은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주요국들의 공통현상이다. 이 결과 전통적인 산업과 사회 인프라의 신규건설수요는 양적으로 정체 또는 감소추세다. 건설분야의 경우, 젊은 층의 신규진출 기대가 곤란하여 고령자나 외국근로자에 의존하는 경향이다. 건설시공에 로봇도입이 필연적인 배경이다.

 

이 자료는 총인구와 생산연령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는 일본의 입장에서 건설산업에 로봇과 ICT 도입으로 건설시공의 효율과 품질, 정밀도를 높이고 코스트절감을 통해 건설산업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하는 전략을 제시한다.

 

건설시공현장에 기계의 도입과정은 인간이 직접 운전하는 불도저 등 건설기계의 도입, 머니퓰레이터 등 일부 작업의 로봇화 및 자동화, 3D 레이저스캐너 등 ICT기술의 도입 등 원격제어에 의한 로봇타 입무인화 시공 등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건설업과 로봇의 융합에 의한 로봇건설 시대로 진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건설분야의 기술변화에 대응하여 정부(국토교통성)의 지원 하에 일본의 토목학회는 건설용 로봇위원회를 운영하여 건설로봇 개발과 현장적용을 리드하고 있다. 이 특집자료의 저자인 Tateyama교수는 동 학회 건설용로봇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일본의 건설로봇개발을 기여하고 있으며, Fukushima원자력발전소의 안정화 작업을 지원하고 있다.

 

경제인구감소와 저출산/고령화, 사회인프라 건설수요의 정체 등이 일본의 패턴과 유사한 우리나라 여건에서 볼 때 건설-로봇-ICT의 융합은 불가피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현재 대한토목학회 조직에는 15개의 전문분과위원회, 13개의 전문연구위원회가 있음에도 건설로봇대응조직은 존재하지 않는 상황이다. 정부(국토교통부), 관련 학회/협회, 연구기관들이 건설로봇과 건설ICT화를 위한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저자
TATEYAMA Kazuyo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정밀기계
연도
2016
권(호)
2016(228)
잡지명
ロボッ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밀기계
페이지
4~9
분석자
박*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