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유기농산물 혐기성 소화시설의 경제성 평가

전문가 제언

지구 전체의 에너지 소비량 증가로 대기 중에 배출되는 온실가스(특히 CO2)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이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의 주원인이 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의 전망 보고서에 의하면 에너지와 관련한 CO2 배출량은 2008년의 302억 톤에서 2035년에는 432억 톤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바이오매스는 우리 주변 가까이에 있으며 막대한 자원 잠재력이 있다. 그 중 식물성 바이오매스나 동물분뇨는 석탄보다도 휘발성분이 많고 지구온난화를 줄일 수 있는 유력한 청정연료이다.

 

이 자료는 농업용 식물성 바이오매스와 동물분뇨를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산하여 이를 에너지원으로 발전하는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에 대하여 바이오매스 원료의 형태와 공급방식에 따른 경제성 비교를 수행하고 있다. 원료는 식물성 바이오매스와 동물분뇨로 크게 구분하였고 원료 공급방식은 전통적인 농가에서의 공급과 유기농산물 농가에서의 공급으로 구분하고 있다.

 

독일은 2007년 이후에 전국의 유기농산물 농장들이 바이오가스 열병합발전시설을 200개 이상 설치하였으며 이의 발전용량은 830MW 이상이다. 또한 2000년 이후에 전체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의 수도 1,000여개에서 7-8배 이상 증가하였고 바이오가스 발전용량도 2000년의 100MW에서 2013년에는 3,545MW로 대폭 증가하였다.

 

우리나라는 1987년에 대체에너지법이 발효되면서 대체에너지의 하나로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도 많이 수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을 보급하기 어려운 실정에 있으며 시·도별로 소각발전시설이 약간 보급되어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는 국토가 넓지는 않지만 산악지역이 많아 산림 바이오매스가 많이 발생하며 또한 인구가 많기 때문에 폐기물 바이오매스가 상당량 발생한다. 이들을 원료로 바이오매스 또는 바이오가스 발전시설을 보급하면 벽지나 농촌지역의 분산형 발전시설이 가능하고 CO2 배출량 감축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이의 경제성 향상 연구와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Benjamin Blumenstei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6
권(호)
86()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5~119
분석자
박*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