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용 야자나무 기반 왁스 조성물
- 전문가 제언
-
○ 본 특허는 납방염 생산과 납화 용도의 왁스 조성물로 70∼95%의 야자유 기반 왁스 혼합물, 1∼30%의 비야자유 기반 왁스 및 0.5∼30%의 수지로 구성된다. 야자유 기반 왁스 혼합물은 전체 야자유 기반 왁스 혼합물의 중량으로 야자 지방산이 80∼95%, 야자 기반 지방알코올이 0.5∼20%, 야자 글리세리드가 0.5∼10%로 이루어진다.
○ 밀랍은 꿀벌들이 꽃으로부터 모집한 당분을 효소작용으로 생화학적 과정을 통하여 체내에서 만드는 것이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밀랍이 채집되고, 간단히 이물질을 제거한 ‘황밀랍(Cara Flava)’과 탈색한 ‘백밀랍 또는 건조밀랍(Cara Alba)’이 있으며, 탈취한 밀랍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 공예기법 중에서 가장 세밀한 기법인 납방염은 인도가 발상지이고, 서방으로 페르시아, 이집트로 전달되었으며, 동방으로는 중국을 거쳐, 한국, 일본, 자바, 스마트라 등으로 전달되었다. 일반적으로 붓이나 찬칭을 사용하여 방염한다. 초선은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계절에 따라 사용법이 달라지고, 붓은 가는 것 보다는 어느 정도 굵고, 좋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쉽게 냉각되지 않고 오래 쓸 수 있다. 납방염에 주로 사용되는 납의 종류는 밀랍, 목랍, 백랍, 파라핀납이다.
○ 납방염, 납화, 왁스 페인팅에 사용되는 소재별 왁스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고, 그 결과는 특허 출원이 가능하다. 또한 최종 용도의 디자인(예: 형태, 질감)별 왁스 조성물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 생산 공정이 용이하게 되며 그 결과는 실용신안으로 등록될 수 있다. 안료를 첨가하여 페인팅 소재로 사용되는데 그 안료 종류에 따른 왁스 조성물이 개발되면 대량생산에 도움이 되고 그 결과는 특허 출원이 가능할 것으로 사려 된다.
○ 본 특허의 왁스 조성물은 염색 작가들이 천연염색공 예를 통한 예술 작품의 제작뿐만 아니라 다양한 용도(예 : 의류, 실내장식용품)의 대량생산(예: 직물)에 사용될 수 있고, 그 결과 고부가가치의 신제품 개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Malaysian Palm Oil Boar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9493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1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