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도시 광산 - 금속 재활용 전략

전문가 제언

대규모 산업폐기물(, 2자원)의 매립 때문에 환경오염, 유용한 금속 손실 등이 발생한다. 2차 자원(폐기물 흐름)으로는 폐배터리, 폐촉매, 전자 폐기물, 폐필름 및 폐포일, 산업폐기물, REE 자성 폐기물 등이 있다.

 

도시 광산(UB; urban mining)이란 폐기물(: 산업폐기물, 폐휴대폰, 폐자동차)에서 유가 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려는 활동을 뜻한다. 제품 또는 폐기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은 생활 주변에 소량씩 넓게 분포되어 전체 양으로 볼 때에 광산 규모를 이루고 있다.

 

금 광산에서 원석 1톤으로부터 채취되는 금의 양은 평균 4g이지만, 폐휴대전화 1톤에 포함된 금은 약 280470g으로 1차 광석에 비해 70배 이상에 달한다. 일본 물질재료연구소에 따르면, 일본 UB의 금 축적량은 전 세계 금 매장량(42,000)16%(6,800)로 세계 최대의 금자원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매장량 6,000톤을 초월한다.

 

한국 전자산업 환경협회에 따르면, 폐전기전자제품 가운데 폐휴대전화 kg당 유가금속 함유량 분포는 다음과 같다: 0.280.47g, 2g, 구리 140g, 코발트 26g. PC에서는 PCB 부품이 10%를 점유하고 그 가운데 금 함유량은 7501050ppm이다.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도시 광산 기술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2012, 2015년에 각각 자원 중심 활성화 방안, 희소 금속 재활용 수익성 분석 등을 연구하였다. 도시 광산 자원으로부터 금속 자원 회수 극대화를 위해 도시 광산 자원의 발생량 및 축적량에 대한 국가 차원의 DB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에는 효율적 폐기물 관리 시스템이 연구되어야 한다.

 

자원순환 기술개발 관련 정보DB 및 기술 공유를 통하여 관련기술의 장단점 파악하고 특히 폐기물에서 금속을 회수하기 위하여 자원지수와 기술지수를 평가를 통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저자
Zhi Su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112()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977~2987
분석자
김*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