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의 폐컴퓨터 재활용 현황
- 전문가 제언
-
○ 도시 광산(UB; urban mining)이란 폐기물(예: 폐컴퓨터, 산업폐기물, 폐휴대폰, 폐자동차)에서 유가 금속을 추출하여 재활용하려는 활동을 뜻한다. 제품 또는 폐기물 안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은 생활주변에 소량씩 넓게 분포되어 전체 양으로 볼 때에 광산 규모를 이루고 있다.
○ 2009년 우리나라 환경부에 따르면[홍 2012], 평균 수명은 컴퓨터 3.94년, 에어컨 5.85년, TV 7.33년, 세탁기 7.65년, 냉장고 7.69년 등이다. 컴퓨터는 생산자 책임 재활용 제도(EPR)에 의한 재활용 의무 대상제품 총 10종 가운데 하나이며 여타 폐가전제품에 비해 짧은 수명 때문에 폐컴퓨터 재활용은 매우 매력적인 도시 광산이라고 볼 수 있다. 폐컴퓨터 도시 광산과 관련하여, 우리나라 주요 기업으로 리컴(주)가 있고, 주로 금속(예: 금, 은, 구리, 팔라듐)을 회수하고 있다.
○ 금 광산에서 원석 1톤으로부터 채취되는 금의 양은 평균 4g이고, 휴대전화기 1대에는 0.04g이지만, 폐컴퓨터 1대에 포함된 금은 6g으로 1차 광석에 비해 1.5배에 달한다. 참고로, 컴퓨터 1대에 포함된 다른 희소 금속 함유량은 팔라듐 0.14g, 은 5g, 구리 100g, 알루미늄 1000g 등이다 [홍 2012].
○ 국내 현황 및 향후 연구 개발 동향 : 도시 광산 기술, 특히 폐컴퓨터 도시 광산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연구 내용이 빈약한 실정이다. 폐컴퓨터 대신에, 연세대학교에서는 2012년에 폐휴대전화기 재활용으로 발생하는 비용 대비 편익을 연구하였다.
○ 향후에는 평균 수명이 매우 짧은 폐전자제품인 폐컴퓨터(예: 데스크탑, 랩탑)에서 귀금속(예: 금) 자원 추출 공정이 연구되어야 한다. 추가적으로, 폐컴퓨터 도시 광산 자원으로부터 금속자원 회수 극대화를 위해 폐컴퓨터 자원의 발생량 및 축적량에 대한 국가 차원의 DB 구축이 필요하다.
- 저자
- Van Eygena E.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6
- 권(호)
- 107()
- 잡지명
-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3~64
- 분석자
- 김*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