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레이저 유도 충격파를 이용한 실험실 규모 화약 성능평가 기법

전문가 제언

US Army Research LaboratoryJ. L. Gottfried는 밀리그램 분량의 에너지물질만을 가지고 폭발속도나 폭발압력과 같은 화약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실험실 규모 기법을 개발하였다. LASEM 기법에서는 에너지물질의 표면에 레이저유도 플라즈마를 형성하여 발생된 충격파의 궤적을 슐리렌(schlieren) 고속촬영술로 100 이상 기록한다.

 

DNAN, TNT, HNS, TATB, NTO, PETN, RDX, HMX, CL-20을 포함한 12종의 에너지물질이 각각의 특성충격파속도와 몇 가지 폭발성능을 연관시키는 보정곡선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었다. 레이저유도 충격파속도와 대규모 시험에서 측정된 폭발성능 사이에는 강한 일차적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LASEM 기법은 니트로셀룰로스, FOX-7, 나노 RDX, 세 가지 군용조성, 그리고 개발 중인 세 가지 고질소화약에 적용되어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이 기법은 새로운 에너지물질의 개발과정에서 대규모 폭발시험을 수행하기에 앞서 가능성 있는 물질을 선별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LASEM 기법의 장점은 매 시험 당 물질소요량이 수 밀리그램 이하로 매우 적다는 것, 하루에 수 백회의 시험이 가능하다는 것, 에너지물질을 폭발시키지 않고도 폭발성능 평가가 가능하여 비용과 안전 요구조건을 줄일 수 있다는 것 등이다.

 

국내에서는 새로운 화약의 개발과정에서 적어도 수십 그램의 시료가 확보되기 전에는 폭발성능 평가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LASEM 기법을 발전시켜 수 밀리그램의 시료물질만 가지고도 폭발성능 평가가 가능하게 된다면 개발 비용이나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둔감화약 조성과 같이 임계직경이 너무 커서 소규모 폭발시험이 불가능한 경우의 성능평가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저자
Jennifer L. Gottfried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40()
잡지명
Propellants, Explosives, Pyrotechnic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674~681
분석자
송*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