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파 차폐 코팅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전문가 제언
-
○ 전자 및 통신기기 보급과 사용이 급증하면서 EMI(전자파 장해 또는 전자파 간섭)로 인한 인체유해성과 환경문제 등의 우려와 더불어 전자파가 전자 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고 전자회로를 파괴하는 등 의료, 군사 및 항공시스템의 고장 원인으로 밝혀져, 모든 전기, 전자 제품들과 시스템은 EMC(전자 적합성) 및 EMI표준에 상응하도록 요구받는 등 EMI 차폐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 EMI차폐 재료들은 대부분 판(plates), 포일 및 필름 형상의 금속과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두껍고, 무겁고, 부식되기 쉬울 뿐 아니라 연결부위, 모서리 및 중첩부에서 EMI누출이 관찰된다. 금속과 탄소를 기초로 한 페인트가 있으나 기재와의 결합 강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금속 흡수재의 부식, 탄소 흡수재의 부적합한 전도성, 좁은 차폐 주파수 영역, 두껍고 무거운 코팅 층 등의 결점들을 갖고 있다.
○ 이 발명은 내식성을 띠며 10MHz∼20GHz의 광범한 작동 주파수 영역에 걸쳐 높은 EMI 차폐효율(SE)을 갖고 대기 조건에서 브러싱이나 롤러의 도움으로 표면에 편리하게 도장될 수 있도록 설계한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a)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로 구성된 전자기 흡수 충전제 약 1∼30wt% b) 약 5∼40wt%의 용매, 분산제와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및 c)약 30∼94wt%의 고분자 캐리어매트릭스로 이루어져 있다.
○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가격 면에서 유리하나, 세계적으로도 탄소나노튜브는 아직 소규모의 초기시장 규모이고 고가이며, 국내의 경우 전자파 차폐 수성페인트, 무기질 계 전자파 차폐 도료 등 다양한 전자파 차폐 제품들이 상업 생산되고 있고 전자파 차폐용 도료 조성물에 관한 많은 특허들이 출원되고 있는 등 기술 개발이 활발하여 이 발명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다.
○ 그러나 탄소나노튜브 등은 국내 기업이 비교 우위를 점하고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전자파 차폐용 도료의 개발 추세도 그래핀을 비롯한 탄소 나노튜브 등 도전성 탄소 충전제와 도막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바인더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개발은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INNOMART PTE. LTD.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9100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21
- 분석자
- 김*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