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간장공장의 아민류 저감화 대책

전문가 제언

간장, 치즈, 어간장, 수산가공품 등 발효나 저장식품에서 생성되는 아민류는 식품 중 아미노산이 미생물에 의하여 아민류로 전환·생성되므로 생물생성 아민류 즉, 바이오제닉 아민류(biogenic amines: BA)라 부른다. 히스타민은 유리 histidine 함량이 비교적 많은 붉은살 어류에 함유되어 알레르기성 히스타민 식중독의 원인이며, 티라민은 tyrosine 유도체로 발효유제품 등에 생성하여 편두통, 고혈압의 원인 물질이다. 이들 불휘발성아민의 생성원인은 야생형 간장유산균으로 밝혀져 있다.

 

간장 양조에서 내염성간장유산균(Tetragenococcus halophilus)는 간장효모의 증식 환경조성, 간장덧의 약산성 환원상태 유지, 밝은 색조 조성, 향기롭고 맛좋은 양조 향을 생성하는 기능이 있다. 유산균군은 당 발효, 아미노산 분해, 유기산 분해 기능이 있으며 각 아미노산에 대응한 탈탄산 반응으로 아스파라긴산알라닌 변환은 유용한 변화이긴 하나, 히스타민이나 티라민으로의 변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탈탄산효소 유전자는 플라스미드를 가진 간장유산균이 야생형으로 되어 탱크 내벽, 교반기, 배관 내외부의 잔존물에 서식한다. 간장 담그기는 전통적으로 담금 탱크를 세척하는 설계는 없고, 대부분 배출 후 간장덧이 남아 있는 그대로 다음 제국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민 생성원인이 되는 야생 유산균의 방제·살균이 가장 중요하다.

 

간장의 히스타민 규격은 우리나라나 Codex 및 일본에서 기준치는 없지만, EU에서 무역 거래의 권장치 200mg/kg가 정해져 있는데, 이 농도이면 문제가 없다고 본다. 어간장 Codex 규격은 400mg/kg 이하이다. 국내 연구로는 장류 중 바이오제닉아민 저감화(2008), 된장의 BA 저감화(2009), 종균이용 BA 저감 된장(2014) 등이 있다.

 

간장 제조공장에서 전통적으로 배관이나 탱크류를 세척 살균하지 관행을 과감히 개선하여 로트별 작업 시 세척·살균시스템을 표준화하여 야생형 유산균이 남아 서식하지 않는 공정개선이 필요하며 유용한 간장유산균이나 간장효모를 선발하여 스타터 첨가로서 고품질 간장 제조공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Hideo Tagam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41(5)
잡지명
醬油の硏究と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327~338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