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다이캐스팅 주조에서 금형 내 정보 직접 계측으로 품질관리

전문가 제언

다이캐스팅과 같은 가압 사출방식에서는 어떻게 하면 금형 내의 용융금속유동을 제어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다이캐스팅에서 용융금속의 사출속도는 그 유동 특성을 제어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사출속도의 설정 및 게이트의 설계는 대부분 경험적 자료를 이용하고 있어 그 효율성을 극대화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다이캐스팅에서는 공동 내의 용융금속을 가시화할 수 없으므로 컴퓨터 시뮬레이션 및 X선을 이용하기도 하며, 용융금속의 흐름을 직접 관측하기 위해 금형의 일부를 아크릴판으로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 카메라로 촬영을 하여 게이트의 두께에 따른 경과시간과 분출 총 면적, 분출속도 및 분출각도 등을 조사하는 등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여 데이터화 하고 있으나 직접 실용화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고 생각된다.

 

주조 시뮬레이션은 1970년대에 미국 GE에 의하여 시작되었으며, 1982년 경에는 일본에서 응고 시뮬레이션이 실용화되었다. 1983년에는 Pittburg 대학연구소에서 용융금속 흐름에 적용하게 되었다.

 

여기서는 다이캐스팅에서 금형 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용융금속 압과 온도를 복합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다이렉트 센서, 금형 내 가스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가스압 센서 등의 센서를 러너, 게이트, 공동 내에 설치하여 그 결과를 cast monitorcast panel에 나타내 다이캐스팅의 품질향상을 꾀하고자 하였다.

 

국내에서도 다이캐스팅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주조 가시화에 관심이 높아져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등록번호 10-0682029(200797)로 용융금속 충전 가시장치 등이 등록되었으나 압력 및 온도 센서 등을 이용한 품질관리 방안은 아직 연구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 이 분야의 연구는 앞으로 많은 응용이 기대되는 분야로 생각된다.

저자
Osamu Nagasaw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30(3)
잡지명
型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3~68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