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고 다이캐스팅의 최근 동향

전문가 제언

주조업계에서는 저연비화 대책으로 자동차부품을 한층 더 경량화 하기 위해 철계 재료에서 경합금재료로 치환하고, 주조부품의 고품질화 등의 연구개발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고품질 주물을 얻기 위한 새로운 주조기술로 세미 솔리드 다이캐스팅법(반용융Thixo casting, 반응고Rheo casting)이 주목을 받고 있다.

 

반응고 주조법이란 용융금속을 반응고 상태(슬러리)로 주조하는 방법으로 완전 용융금속으로 주조하는 것에 비해 수축공, 편석 등이 적고 조직이 미세화 되어 기계적 성질도 크게 향상된다. 그러므로 고강도 고내압, 고인성이 요구되는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니어 넷 세이프화가 가능하며 단조품을 주조품으로 대체할 수 있는 기술이라 하겠다.

 

반응고 주조방법으로 주철제를 알루미늄으로 재질변경을 하고, 알루미늄은 마그네슘으로 재질을 변경하여 더욱 경량화할 수 있으며 특히 알루미늄인 경우 DMX-11(Al-Mg-Zn-Mn), A6061(Al-Mg-Si), A7071(Al-Zn-Mg) 등의 전신재에도 적용할 수 있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 기업에서도 반응고 다이캐스팅 방법에 대한 우수한 장점을 이미 파악하고 많은 업체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예를 보면 2013123일에 공고된 공개번호 10-2013-0009240의 반응고 다이캐스팅 방법 및 그 장치를 보면 금속을 용해하여 융금속을 형성하는 단계, 슬리브를 통해 가동금형이 결합된 성형 금형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반응고 다이캐스팅법이 제공되고 있다.

 

자동차 부품에서 금속 소재의 성형성 한계극복, 친환경적 생산 및 부품의 경량화를 위해 경금속 소재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러나 철계 합금에서 경합금으로 전환될 때 파생되는 기계적 성질의 저하와 원가 상승은 경합금 소재의 적용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것이 세미솔리드 주조공법이다. 앞으로 이 분야의 응용은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저자
Itamura Masayuk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3)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6~43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