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그노-셀룰로오스 식품폐기물의 전처리 전략

전문가 제언

국내에서 목재/바이오매스로부터 알코올을 생산하여 자동차용 연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1990년대 초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주관이 되어 산, , 연 공동연구를 한 바 있다. 이 연구는 목재 칩을 증기 폭쇠하는 전처리기술과 이를 당화하는 효소생산기술 확보로 연료에탄올 20L/d 규모의 공장을 설치하여 운전하였다. 그 후 연료에탄올 연구는 목재자원의 수급 및 경제성문제로 더 이상 수행되지 못하였다.

 

국내 바이오매스 자원은 산업폐기물을 제외하고는 원료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낮고 원료의 대량 수집 집하가 어렵고 기질 특성과 발생 특성이 달라 에너지 전환 기술 또한 상이한 취약점을 갖고 있다. 국내 바이오에너지 생산 활용이 가능한 임산농산 부산물, 축산폐기물 및 도시폐기물을 합치면 약 2,300,000toe에 이르지만 현재 보급되고 있는 바이오에너지는 약 197,000toe로 가용 자원량 대비 8.5%에 불과하다.

 

2세대 연료는 이용측면에서 폭 넓은 변화를 보이고 있어 리그노-셀룰로오스 원료 및 최종 생산물인 가스 혹은 액체연료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2세대 바이오연료의 주원료는 목초와 같은 비-식용작물로 충당할 수 있고 또한 성장이 잘 되는 단기 회전 살림에 의해서도 공급될 수 있다. 바이오매스 폐기물 잔사로부터의 제 2세대 바이오연료는 앞으로 1015년 이내 시장형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안정화 개념은 막대한 경제적 이득을 유도할 수 있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는데 있다. 폐기물 폐기와 환경보호를 위한 강력한 법률은 식품산업으로부터 유도된 리그노-셀룰로오스의 혁신적인 전처리 능력을 요구한다. 전처리 선택은 효소가수분해 시 환원당을 최대로 회수하는데 있어 물리화학적 기초위에서 바이오매스가 자연 상태에서 이행되길 바란다.

저자
Rajeev Ravindra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6
권(호)
199()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2~102
분석자
홍*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