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의 혐기성 바이오에너지 공장의 비용-편익 분석
- 전문가 제언
-
○ 이 문헌은 파키스탄의 새로운 혐기성 바이오에너지 발전소의 설계 및 비용-편익 분석을 다루었다. 이 발전소에서는 가축-분뇨, 식물-과실 폐기물, 가금분뇨, 당밀 등을 포함한 공급 원료를 소화할 수 있다. 고정 돔형 다단계 소화 시스템으로 연속적으로 가스를 공급한다. 여기에는 또한 바이오가스 정제, 압축 및 저장 시스템이 있다. 이 중형 바이오에너지 발전소는 파키스탄에서 최초로 건설되는 것으로 설치비용이 US$105,000, 연간 운영 유지비가 US$23,400이다.
○ 연간 발전량은 142,380kWh이고, 발전단가는 파키스탄의 여러 가지 바이오에너지원으로부터의 원료의 평균이 US$0.315/kWh이며, 비용-편익 비는 내부 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을 19.76으로 보아 1.2이며 자본회수 기간은 비교적 긴 편이다.
○ 한국동서발전(주)이 수도권 매립지 관리공사와 함께 생활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터빈 열병합발전소를 2009년에 착공, 2012년에 완공한 바 있는데 이 바이오가스발전소가 당시는 세계 최대인 5MW 용량이었다. 2015년 4월 22일에 준공한 삼천리ES의 서울 서남물재생센터 바이오가스발전소는 5.8MW 용량으로 다시 국내 최대 바이오가스발전소가 되었다. 이 발전소는 열병합발전소로 연간 38,000MWh의 전력과 36,000Gcal/h의 열을 생산한다.
○ 그 밖에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에 의한 중소형 발전기는 가스엔진을 사용하며 천안, 예산, 파주, 인천, 부산, 익산 및 제주 등에 산재하며 용량은 30kW~2MW에 이르는 많은 바이오가스 발전기가 가동 중이다.
○ 바이오가스발전은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뿐만 아니라 바이오매스에서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연소시켜 지구온난화를 경감시키는 측면이 있다. 메탄가스는 이산화탄소보다 20배 이상의 지구온난화 효과가 있음으로 바이오매스에서 유래되는 메탄가스는 가능한 한 전부 수집하여 활용하여야 한다. 이런 점에서 산에 버려지는 산림자원의 활용이 시급하다.
- 저자
- Rizwan Rasheed,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6
- 권(호)
- 90()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42~247
- 분석자
- 이*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