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포장식품의 부패·변패

전문가 제언

포장식품은 저장, 판매, 유통 등의 단계를 거치는 동안 오염물질로부터 제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식품의 안전, 품질 및 유통기한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용된 포장 방법이 미생물의 생존, 생육, 감소 또는 제거 등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 판단하여, 적절한 포장재질이나 포장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식품의 변질, 부패, 산패 등의 용어와 관련된 보도를 살펴보면 포장이나 유통기한 표시 등에 문제로 변질, 부패의 우려가 있어, 전문가가 봐도 헷갈리는데, 당연히 일반 소비자들은 부패, 변패, 발효의 개념이 어려워 식품의 변질을 항상 나쁜 것으로만 생각하는 반면 발효는 무조건 좋은 것으로만 맹신하고 있는 것 같다.

 

공기 중의 산소는 식품을 부패시키는 산화 반응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산화를 막기 위해서는 밀봉을 하는 게 중요하지만 식품과 공기 중의 산소가 만나는 것을 막는다고 부패를 늦출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식품 속에 금속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며, 식품이 산소와 만나 산화 반응이 일어나면 냄새가 나기도 하고, 영양소가 파괴되는 등 부패의 대표적인 현상들이 나타난다.

 

국내 연구로는 김우선 등(2013)의 유통기한·소비기한 병행 표시에 따른 영향분석, 문상덕 등(2007)의 식품위생법상 유통기한제도의 법 정책적 고찰 등이 발표되었으며, 특허로는 농·수산 발효식품의 보관이 용이한 포장용기 등 20건이 출원되어 있다.

 

최근 식품가공기술, 포장기술, 포장 재질 등의 발달로 인하여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제도에 얽매여 대부분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자원의 낭비 및 식품의 국제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키는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대부분의 유통기한을 업체 및 제품의 특성을 가장 잘 아는 생산업체가 스스로 설정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식품의 유통기한 개선에 관한 방안을 도출하여, 식품산업의 발전을 이루었으면 한다.

저자
Takashi ku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32(1)
잡지명
日本食品微生物???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9~33
분석자
정*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