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

전문가 제언

근년 지구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규제가 세계적으로 강화됨에 따라 접착제에 대해서도 환경부하의 저감이 불가피한 과제로 되고 있다. 최근 전 산업분야에서는 제품의 경량화, 소형화, 공정 간편화 등이 추진되는 것에 부응하여 부품의 접합기술도 용접과 같은 물리적 방법에서 접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전환됨에 따라 고성능, 고기능화 접착제 분야의 시장이 크게 성장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발명은 내열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2성분계 아크릴 접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접착제 조성물은 중합반응 개시제 조성물과 중합반응 촉진제 조성물로 각각 분리되어 보관되고, 이용 시에 서로 혼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접착제로서의 기능이 발현된다. 특허청구권 범위를 보면, 신규물질의 사용은 없지만 이용 시에 개시제 조성물과 촉진제 조성물을 혼합함으로써 미반응 물질을 최소화 시키는 것이 특징으로 특허침해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배합 물질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아크릴계 접착제는 높은 고형물 함유량, 적은 휘발성 유기물 함유량, 자외선 및 열 안정성, 빠른 경화속도 등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한 소재의 접합용도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아크릴 기반 접착제의 국내 제조업체로는 오공을 비롯하여 대양화학, 대흥특수화학, 이진화학 등이 참여하고 있다. 국내 제조업체의 제품들은 주로 점착테이프, 라벨 등에 대량 사용되고 있지만 접착제의 고기능화에 의한 용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한편, 특수 용도의 고기능성 접착제 관련 핵심 기술 및 제품의 상당부분은 선진국으로부터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아직도 기술의 종속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접착제 산업은 용제형으로부터 탈피하여 수용성, 광경화형, 핫멜트형 등으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소재의 개발과 함께 특수 용도를 지향한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주류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산업의 개발방향은 환경친화적이면서 적용 가능한 분야를 넓힐 수 있는 접착제의 연구, 즉 기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접합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고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IPS, Corporation - Weld - on Division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91189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20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