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외선 및 열경화성 고온 임시고정용 접착제

전문가 제언

최근 전 산업분야, 특히 자동차나 전자기기 등의 조립 공정에서는 경량화나 소형화, 공정 간편화 등이 추진되는 것에 부응하여 부품의 접합기술도 볼트, 너트, 리벳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에서 열융착, 접착제, 점착제 등을 이용하는 화학적 접합으로 대체 가능한 기술로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접합기술은 적용제품의 복잡화, 외형의 감성화 그리고 중량의 경량화에 따라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이 발명은 고온(300450) 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닐카르보실록산(vinylcarbosiloxane)을 기반으로 하는 1성분계의 광경화성 및 열경화성 임시고정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접착제 조성물은 부가적인 가교제의 첨가 없이 고온 처리조건에서도 안정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 특허의 특허청구 범위를 보면, 기존의 상용제품을 중합하는 기술로서 신규성은 그다지 보이지 않으므로 특허권 침해의 문제발생 여지는 크게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기업들도 근년에 들어와서는 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연구가 활발하므로 참고자료로서 활용하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접착제 산업의 동향을 보면, 대기업들이 접착제 사업에 관심을 두고 있지 않은 가운데 Henkel, Sika, BASF, 한국쓰리엠 등 다국적 기업들이 자동차, 전자 분야의 특화된 고기능성 접착제의 시장공략이 거세지고 있는 한편으로 오공, 대흥화학 등 국내 기업들은 목공, 건축 분야의 범용제품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임시고정용 접착제의 제조에는 Henkel, 한국쓰리엠, 엠케미텍 등이 참여하고 있다.

 

향후 접착기술의 개발방향을 고려하면, 각종 조립공정의 간편화와 최종제품의 복합기능화, 경량화 및 환경규제강화 등의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공정 단순화 및 경량화를 위한 구조용 접착, 태양전지나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 등 선도적인 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기능성 접착제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Henkel(China) Company Limited, Henkel Corporation, Henkel AG & Co. KGAA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96345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4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