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중국 풍력발전의 조업단축에 대한 원인과 대책

전문가 제언

근래에 들어 전 세계의 풍력발전산업은 급속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2006년부터 중국은 풍력발전 신설용량을 전년 대비 2배로 늘리는 급성장을 거듭했고, 이 결과 2010년에 누적설치용량이 40GW를 초과함으로써 세계 정상국가로 올라섰다. 하지만 2010년 이후 북부, 남서부, 남동부지역 풍력단지 중심으로 발생된 심각한 조업단축(curtailment)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풍력발전단지에서 안전, 기술, 전력망 연결 관리, 시스템 문제 등으로 풍력터빈을 정지해야 하는 상태인 조업단축은 풍력발전산업계의 투자의욕을 꺾을 뿐만 아니라 심각한 에너지낭비를 불러일으킨다. 중국의 풍력산업의 조업단축 발전량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각각 3.9TWh, 10TWh, 20.8TWh, 16.2TWh에 달했다.

 

중국의 풍력 조업단축 해결방안으로 풍력 개발과 전력망 건설의 효과적 연계를 위한 계획조정관리 체계의 필요, 신재생에너지원 발전에 대한 보조금, 할당정책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지원 정책의 개선과 관련 법규의 보완과 명확화, 지역 전력부하 증대와 풍력발전 난방 시범프로젝트 수립, 송전용 지역횡단 전송채널의 건설 추진 등이 제시되었다.

 

독일이 2020년까지 총 전력 중 신재생에너지원 비율을 20%로 추진하는 등 세계 각국은 CO2 배출 감축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비율 확대에 힘을 쏟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은 경제성과 기술 성숙도에서 우수한 장점으로 2014년의 세계 누적 설치용량은 369GW를 넘어 원자력 설비용량을 상회했다. 국내도 서남해안 2.5GW 해상풍력발전단지의 건설 등 풍력발전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도 관련기관 중심으로 풍력단지의 조업단축 발생 가능성에 사전 대비할 필요가 있다. 즉 풍력단지 계획 수립 단계에 전력망 건설, 보조금 제도 개선 등 단지 가동에서의 필수 요소들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여기서 소개된 대응 방안을 참고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Guo-liang Lu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6
권(호)
53()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1190~1201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