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주행 환경에서 차량 사이의 통신
- 전문가 제언
-
○ 안전한 도로주행을 위해 선행차량과 무선통신으로 차량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협력 적응 정속주행 시스템(CACC)’은 불필요한 감속과 가속을 통제하여 연료소모 절약과 교통 혼잡을 개선하며 집단주행(platooning)과 함께 자율지능 교통시스템의 주요기술이다.
○ 차량 통신환경의 멀티 홉 라우팅은 차량의 이동성, 도로 특성, 차량 분포에 따른 토폴로지 및 라우팅 경로의 심한 변동 때문에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차량 안전 서비스 유지와 상용을 위한 표준화가 필요하다.
○ CACC는 자동차사이의 시간간격의 최소화를 위하여 ACC기능을 확장한 임베디드 시스템으로서 V2V 통신링크를 이용하여 전후 자동차로부터 전송된 상호정보를 이용한 분산자동 운전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공기저항이 적어 연료절약이 가능하며 인력절감과 도로 용적량을 최소화하여 차선 증설수요 감소와 교통흐름을 향상시킨다. 이것은 연료절감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 또한 상당히 줄인다.
○ 훈련과 작전으로 인한 군용차량(트럭, 지프)의 장기운행은 운전병의 피로도가 가중되어 전투지원 효율이 감소된다. 특히 군용차량은 집단으로 이동하므로 선임차량과 후발차량간의 운행상황의 실시간 공유가 절대적이다. 이러한 집단자율 주행기법은 군 수송과정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지원할 수 있어 미래 전투근무지원업무의 획기적인 전환이 가능하며 전투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게 된다.
○ 최근 ETRI에서 선행차량의 돌발 상황을 후진차량에게 실시간 송신하여 연쇄 추돌을 방지하는 멀티홉 방식의 차량 간 통신기술을 시제하여 최대 200km/h의 고속에서 그 가능성을 입증하였지만 사용주파수 중복으로 실용화가 지연되고 있다.
○ 집단주행 기법연구는 아직 기초연구수준이지만 기존 ITS 관련기술과 접목하면 조기에 상용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관련기관에서 체계적으로 연구방향을 정립해야 할 시점이다.
- 저자
- Alexey Vinel, Lin Lan, Nikita Lyami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8(3)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192~197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