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접촉을 이용한 생체정보 검출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 전문가 제언
-
○ 생체정보 탐지용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적용과 확산이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영역은 의료서비스 분야이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피트니스/웰니스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건강관리 서비스 영역을 넘어 진단, 수술 및 치료 부문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확대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특허기술은 국내 첨단 의료서비스 및 의료정보화 분야에 영향을 주어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술의 핵심인 피부의 전기적 자극을 통해 생체신호를 얻는 웨어러블 기기는 여러 피부지점의 GSP(Galvanic Skin Potential)를 측정하여 GSR(Galvanic Skin Response)을 측정함으로써 다양한 생체정보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신체의 어느 부위에서든 피부접촉을 통해 정보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존의 안경식, 헤어밴드식 및 손목시계식 등에 비해 착용감각 매우 편리한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 웨어러블 기기용 센서는 인체의 움직임이나 물리적인 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범위를 넘어 인체에 부착하여 눈물, 땀 등 생체용액을 분석함으로써 건강지표를 얻을 수 있는 센싱 플랫폼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바이오 센서는 신체 민감도 및 안정성과 기계적 유연성을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국내 연구팀에서 나노 소재와 바이오 물질을 이용하여 신체안정성과 민감도가 뛰어난 유연 바이오 센싱 플랫폼 기술을 개발한바 있다. 이 특허기술을 국내 생체인식 기술 및 생체정보 검출용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품설계에 벤치마킹 하여 기술혁신을 가속화할 필요가 있다.
○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라이프 로그(life log) 데이터는 생활습관이나 건강정보 등 헬스 케어 분야의 빅 데이터로써 활용가치가 매우 크다. 이처럼 헬스 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시장은 빅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소셜 네트워킹 등과 결합되어 발전하고 있다. 2019년 58억 달러의 대규모 시장형성이 예상되는 글로벌 웨어러블 헬스 케어 시장선점을 위한 관련 기업의 원천기술개발 노력이 요구된다.
- 저자
- GOOGLE INC.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9129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8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