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Ag)을 도핑한 유리
- 전문가 제언
-
○ 최근에 유리(glass)는 구조재나 식기용도에서 벗어나서, 새로운 기능을 가진 기능성 유리로 발전하고 있다. 이들 중에서 광학유리는 유리가 가진 고유한 특성 중 일부인 굴절률과 분산능을 이용한 것이다. 이 특성을 이용한 것은 주로 정밀기기에 응용된다.
○ 특히 디지털 과학의 발전과 함께 광학(optics)와 전자공학(electronics)의 두 기술을 융합한 광전자(optoelectronics) 기술이 탄생했다. 즉 TV 또는 모바일기기용 디스플레이, 광통신, 광 정보기기, 등의 발전은 지금까지 유리가 가지고 있는 특성 만으로는 기능을 개선할 수 없는 문제를 안고 있다.
○ 본 문헌은 광통신이나 광 정보기기용 도파관(waveguide), 광 센서, 등에 이용되는 광기능성 유리에 대해서 설명한 자료이다. 이 유리는 유리 매트릭스에 은(Ag) 이온을 도핑한 것으로써, 이온교환(ion exchange)법에 의해서 제조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136종의 최신 참고문헌을 소개하고 있어서,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에게 좋은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중점적으로 소개되고 있는 도파관이란 마이크로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1GHz 이상)의 전기 에너지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로의 일종을 의미한다. 이 용도로 사용하는 광섬유(optical fiber)는 중심에 굴절률이 높은 유리, 바깥에 굴절률이 낮은 유리를 장착해 중심부 유리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 되도록 제작된 광학적 섬유를 말한다.
○ 우리나라에서 제조되는 기능성 유리는 스마트폰용 커버유리, 전자레인지용 내열유리, 자동차 전조등 렌즈유리, 등이 있다. 또 광학렌즈의 경우에는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여 후가공 처리하여 판매되고 있다. 한편 광섬유는 대한광통신(주)에서 제조되고 있으나, 본문에 소개된 은 도핑 유리 기술을 이용하고 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 저자
- Francesco Gonell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41()
- 잡지명
- Ceramics Internatio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693~6701
- 분석자
- 허*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