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고비강도/고연성/고내식성 마그네슘 합금

전문가 제언

고강도, 고연성, 고내식성을 겸비한 초경량 합금은 자동차, 항공, 방산, 생체의료, 스포츠, 전자기기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강도와 역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특성의 최적화가 쉽지 않다. 본고의 저자인 Xu 등은 Li 함량을 크게 높인 새로운 조성의 초경량 Mg-Li계 합금(ρ1.4g/)과 그것의 가공열처리법을 개발함으로써 Mg 합금에 고비강도, 고연성, 고내식성을 동시에 부여하는 획기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Xu 등이 채택한 Mg-10.95Li-3.29Al-0.19Zr-0.59Y(wt.%)은 고-Li 합금으로서 용체화처리 후 수랭(WQ)할 경우 hcp 대신 bcc 결정구조를 가진다. , 구조적으로 기존합금보다 실온 연성과 냉간성형성 면에서 우월성을 기대할 수 있다. Xu 등은 이 합금을 열간압연용체화처리수랭(WQ)저온시효(<100)냉간압연 처리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었다. 비강도161 kNm/kg, 연신율26%, 부식전류밀도6 /는 기존의 다른 Mg 합금들보다 훨씬 우월하다.

 

Mg-Li계 합금에 대한 연구를 처음 수행한 것은 미국의 NASA이다. 그들은 Li이 지구상 금속 중 가장 저밀도( 0.53g/)일 뿐 아니라 Mg10.3wt.% 이상 첨가하면 bcc 상으로 바뀌는 것에 착안하여 비강도가 높고 연성이 뛰어난 합금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비교적 낮은 강도, 불안정한 기계적 성질, 낮은 내식성, 높은 생산원가 등의 문제점들 때문에 결국 연구를 포기하였다. 그 후 여러 연구자들의 후속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용성이 기대되는 합금은 개발되지 못하였다.

 

국내의 Mg-Li계 합금 연구실적은 문헌조사 결과 3건으로 나타났다. 2건은 세종대 팀이 Mg-Li 합금에 Al, Zn, (B)를 첨가한 주물에 대한 것으로서 거의 동일한 내용이다. 나머지 1건은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2개 대학이 공동으로 SCI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이다. Mg-xLi-3Al-1Sn- 0.4Mn(x=5, 8, 11 wt.%)을 주조하여 열간압출한 시편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을 비교한 것으로서 x=11의 경우 Xu 등의 결과와 상당히 유사하므로 가공열처리법의 개선 등 앞으로의 연구성과가 기대된다.

저자
Wanqiang Xu, Nick Birbilis, Gang Sha, Yu Wang, John E. Daniels, Yang Xiao and Michael Ferr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14()
잡지명
Nature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1229~1235
분석자
심*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