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빌딩용 멀티공조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전문가 제언

근래에 들어 건물의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분산식 공조시스템(distributed air-conditioning system)이 확대되고 있다. 이것은 분산식 공조시스템이 중앙식 공조와는 달리 분산설치와 개별공조가 가능하여 투자비와 전력비용이 절감되고 성능개선으로 설치 가능한 시스템 용량이 늘어난 것에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분산식 공조시스템은 초기에는 창문형이나 벽걸이형 등 일체형 패키지유닛이 주류를 이뤘지만, 건물용으로 확대되어 시스템에어컨(system air- conditioner), 또는 멀티에어컨(multiple air-conditioner, 일본의 경우)으로 불리고 있으며 건물용 공조기의 중심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일본은 1982년 실외유닛 하나에 실내유닛 두 개를 설치할 수 있는 주택용 멀티에어컨이 처음 시장에 도입됐다. 개발 배경은 석유위기 이후의 에너지절약법 등 에너지절약 대책이 본격화된 데에 있다. 초기의 빌딩용 멀티에어컨은 5의 실외유닛을 모듈로 하여 1025, 4기종이었지만 이후 대형 빌딩, 해외시장용 등으로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국내의 공조산업은 1970년대 창문형 에어컨이 개발, 도입됐고, 1990년대부터 본격적인 분산식 공조시스템인 시스템에어컨이 중대형 빌딩용으로 시장에 도입되었다. 하지만 냉방과 난방이 모두 가능한 히트펌프 비율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것은 주로 동절기 혹한기에 난방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에 기인한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 있어서는 고효율 사이클 기술, 태양열/지열 이용 시스템 결합기술 등 저온외기에서의 히트펌프 성능향상 기술 개발이 확대되어야 한다. 또한 해외시장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세계 각 지역별 기후조건과 법 규제 등에 적합하고 사용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과 성능을 확보하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저자
KITANO Ryuj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일반기계
연도
2015
권(호)
70(12)
잡지명
東芝レビュ-
과학기술
표준분류
일반기계
페이지
7~11
분석자
이*원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