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심장질환에 유효한 한약재: 한의학과 현대적 개발

전문가 제언

심장질환은 암과 함께 가장 문제되는 질환으로 보건은 물론 신약 개발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이 총론은 600건 이상에 달하는 임상실험 문헌을 기초로 하여 심장병에 사용되는 다수 한약재들과 천연물질들의 임상적 효능과 작용 기작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들은 심장질환을 고혈압, 심부전 등으로 다시 세분하였으며 한약재를 사용한 현대적 방식의 임상시험 결과에 현대 과학적인 작용기작을 소개하고 있다.

 

해외에서의 천연물질 연구는 1940년대의 페니실린 발견과 이후 왁스만의 또 다른 항생제 발견으로 1950년대에는 천연물질에 대한 관심이 대단히 높았으나 이후 신약 발견은 제약공업에서 화학 합성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20세기 이후부터 제약사들은 다시 버려진 천연물질 개발 사업으로 되돌아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2015년 노벨 생리의학상이 미생물 유래 avermectins의 항-기생충 작용과 식물유래 물질인 artemisinin의 항-말라리아 작용의 발견에 수여되어 천연물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한의학 분야에서 천연물질의 임상 이용에서 세계적인 선진국이었으나 근래 한약재들이 효능과 안전성에 관한 충분한 기초 연구 없이 남용되고 있다. 한약재는 정도에 차이가 있으나 고유의 효능과 함께 독성을 지닌 것이 특징으로 이에 대한 대비가 요구된다. 현대 국내에서는 학술적 근거 없는 다수 한약재 혼합 식품류들이 판매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대한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의학계를 비롯한 한약재 관련분야에서는 현대 과학적 기법을 사용한 임상 효과와 작용 기작에 대한 체계적 연구를 수행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서는 한의학계와 관련 의학 및 기초과학 분야 연구진들에 의한 공동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가적 지원이 요구된다. 이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약 개발은 물론 무분별한 한약재 사용에 의한 독성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연구 과제로 판단된다.

저자
Lingjun Li, Xiuwen Zhou, Na Li, Miao Sun, Juanxiu Lv and Zhice Xu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20(9)
잡지명
Drug Discovery Toda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74~1086
분석자
신*오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