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물의 제초제 저항성에서 내생미생물의 잠재적 역할

전문가 제언

식물스트레스 저항성에 대한 미생물 전처리는 자연적 비생물적 스트레스, 생물적 스트레스(감염)와 가장 관련이 있지만 제초제 내성에 대한 효과는 관심을 받지 못했다. 제초제 약해는 생물적, 비생물적 스트레스의 미세한 특정부분과 관련이 있으므로 식물조직 혹은 인접부위에 생활하는 미생물에 존재하는 내부기생 미생물 혹은 근류세균은 화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저항성을 증진하는 잠재적 스트레스 신호경로를 유인할 수 있다.

 

내생미생물은 제초제에 대한 작물과 잡초의 반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장래 연구에 중요한 영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유익한 내생미생물은 새로운 균주선발과 선택적 접종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작물육종에서 새로운 활용방법으로 개발되고 있다.

 

내생미생물 혹은 근류균에 의하여 증진되거나 부여된 보호형질은 기주식물의 유전형에 의존될 수 있다. 미생물로부터 유익한 상호작용을 최적화한 작물품종 육종은 비용이 들지만 귀중한 목표가 될 것이다. 작물에서 제초제 내성을 조작하는 가장 큰 정점은 유전자변형작물 창출에 큰 비용이 드는 유전자변형 미생물로서의 이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인삼에서 내생진균은 식물병원균 내성과 진세노사이드 함량 증가, 통보리사초의 생장증가 효과가 확인되었을 뿐이며, 내생미생물이 생물적, 미생물적 스트레스와 제초제 내성에 미치는 연구는 아직 시도된 바 없지만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C. Tetard-Jones and R. Edward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72()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03~209
분석자
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