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미늄합금 다이캐스팅의 이형제
- 전문가 제언
-
○ Al다이캐스팅은 용융 Al합금을 고속 고압으로 정밀도가 높은 금형에 충전하여 표면이 평활한 주물을 단시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이캐스팅 시에 금형으로부터 제품을 안정하게 배출하는데, 눌어붙기 방지를 위하여 윤활성이 좋은 이형제가 큰 역할을 한다. 본고는 이형제의 역할, 이형제의 종류 및 이형제 도포 방법 등에 관한 기술이므로 양질의 주물 생산에 유용한 자료(기술)이다.
○ 다이캐스팅은 금형기술이 대단히 중요하다. 금형 공동의 히트크랙, 눌러붙기 및 용손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질화 및 가스침황화질화 등을 처리하여 확산층을 100㎛ 이하까지 처리되고 염욕질화나 염욕침황화질화 처리에서는 100∼300㎛까지 확산층을 형성되게 처리한다. 다이캐스팅 품질 불량으로는 기포가 가장 많고 다음 금형 치수, 크랙이나 응력변형은 눌러붙기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 히트크랙이나 눌러붙기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성, 유성이형제 및 단열계 이형제를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수성이형제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개발된 기술은 종래의 수성 이형제의 도포량에 비하여 1/1,000의 극히 소량의 도포로 이형기능을 발휘하는 유성 이형제와 이형제의 도포기술이 개발되었다. 이형제가 부착하는 최고 금형 온도는 수용성의 270℃보다도 높은 400℃까지 가능하고 정전도포기술을 조합함으로 슬라이드 뒤쪽의 부착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 무기화합물 실리카 10∼20㎚의 초미립자를 교질화하여 유기화합물과 에멀젼해서 수용성의 미량 도포형의 수용성 이형제도 개발되었다. 실리카를 알칼리화합물과 물로 된 교질 용액에 분산시켜서 교질실리카를 얻는다. 실리콘 화합물보다도 저온에서의 이형효과를 교질실리카화합물에 의해 고온부의 이형효과를 얻는 특징이 있다.
○ 현대자동차 등의 협력회사 등의 Al다이캐스팅 공장에서 이형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형제 개발은 희소하며 현재 ADC12 박육 다이캐스팅 시 기포결함에 대하여 한국생산기술연구소와 부산대학 등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앞으로 산학협력으로 이형제 연구도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Norihiro Amano,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87(11)
- 잡지명
- 鑄造工學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789~796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