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퇴비미생물연료전지 전력생산에 탄질비와 염도의 영향

전문가 제언

MFC 전력생산은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보고된 연구실규모 성능지표가 스케일 업(scale-up)된 플랜트에서 구현되면 실용화가 가능한 상태이다. 현재 MFC 연구에 관한 관심은 급증하고 있으며, 엄청난 연구논문이 나오고 있으며 또한 폭발적으로 인용되고 있다.

 

MFC관련기업이 북미, 동북아시아, 유럽, 호주 등지에 설립되고 있으며, 국내 대기업과 대규모 환경업체도 실용화를 앞두고 연구와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는 최근에 MFC 실용화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어, MFC기반 폐기물과 폐수처리장 개선사업에 기대가 고조 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MFC 기반의 생물계 폐기물처리시스템 및 생활과 산업용 폐수처리시스템이 실용화된다면 에너지와 물, 기후변화 등의 제 문제에 대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뿐 아니라, 환경에너지 융합분야의 신규산업을 창출하는 창조경제의 아이콘으로서 큰 의미가 있겠다.

 

MFC는 유기성폐기물과 유기성하폐수를 자원화 또는 정화처리하고, 전기에너지를 추출하는 기존의 유기성폐기물과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보완할 가장 유력한 차세대 프로세스이다. 랩 스케일의 성능 지표는 괄목할 만한 수준이지만, 이를 현장 실용화수준의 운전방법, 재료와 성능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MFC실용화는 환경공학, 생물공학, 재료공학, 전기화학, 전기와 전산제어 등이 요구되는 융합기술로서 MFC기반 유기성폐기물 에너지화 시스템이 수년 내에 실용화하면, 에너지자립형 폐기물처리시설이 기대된다.

 

지구온난화 가속화 및 대체에너지 수요가 급증하는 시점에서 유기성폐기물 혐기성퇴비화처리(anaerobic composting)로부터 신재생에너지를 추출하여 가격 경쟁력이 있는 실용화 기술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미생물을 이용한 전기화학반응으로서 MFC는 환원전극에서 산소환원반응을 통해 유기성물질로부터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은 희망적이다.

저자
Jauhara Md Khudzari, Boris Tartakovsky, G.S. Vijaya Raghava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6
권(호)
48()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5~142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