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칼리성 열수액화공법을 이용한 폐사돼지 바이오오일 전환
- 전문가 제언
-
○ 기존의 폐사가축처리 방법은 매장, 소각, 폐사가축 처리기계 등이 활용되었으나 부지확보 곤란, 지하수오염, 매연발생, 폐사가축 이동오염 및 고가 기계 구입 비용 등의 제 문제로 인하여, 폐사가축 바이오오일 연료화 기술연구와 기술개발 보급이 중요한 실정이다.
○ 축산업의 대규모 전업화 추세 및 기후변화로 인하여 폐사가축이 급증하는 추세이고, 대기, 수질, 토양, 지하수 등의 환경오염 및 쥐, 파리, 까마귀, 독수리 등의 위해동물 번식으로 자연환경이 오염되어가고 있다.
○ 우리나라 축종별 호당 연간 추정 폐사가축 발생량은 양계농가 0.46톤, 양돈농가 15.32톤, 한우농가 0.36톤, 낙농가 1.33톤 등이고 양돈농가 폐사돼지는 전체 폐사 가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일반 양축농가의 폐사가축 처리방식은 산지와 과수원에 매장이 42%, 축분 투기가 36%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렌더링업체, 간이소각, 침지소화 및 사체처리기 등을 활용하고 있었다.
○ 가축이 폐사하면 렌더링업체, 소각, 매장 등이 일반적이나, 지역 여건에 이러한 처리 방법을 활용할 만한 조건이 미비하여 지자체와 작목반이 합동으로 지자체 단위별 폐사가축 바이오오일 연료화 기술보급과 사업장을 확보하여, 축산 환경보전, 지역 바이오매스자원 재활용 및 회수하는 사업화 정책 대안이 필요하다.
○ 폐사가축 자원화사업은 토양, 수질, 대기 등의 오염방지, 위해동물 발생억제, 질병 확산위험 방지 및 저렴한 폐사가축 처리비용 등의 관점에서 지역 바이오매스 이용 시스템에 관계되는 라이프 사이클 평가, 바이오매스 공급사슬 및 환경영향평가 등을 고려한 폐사가축 바이오오일 시스템 연구와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 폭염 및 전염성 질환 폐사가축은 환경보전과 전염병 예방을 위해 보다 합리적인 폐사가축 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와 지도가 필요하다.
- 저자
- Ji-Lu Zheng, Ming-Qiang Zhu, Hai-tang W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3()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30~238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