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영국의 저탄소 에너지 지침별 환경적 후회없는 선택 여부에 대한 연구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 완화에 대한 열망에 따른 저탄소 에너지 체제로의 전환은 새로운 기술의 배치, 전력 생산 용량 확장 및 수요 측면의 관리 등을 포함한 전체 에너지시스템에 있어 상당한 변화를 필요로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시스템에 대해 후회 없는 선택으로 여겨지는 지침들이 환경자원에 대해서도 과연 그러한지에 대해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했고, 사례 연구로 영국의 탄소 계획을 사용하고 1차 에너지 추출, 바이오에너지 작물 생산, 정제, 전기 및 열 생산을 포함한 전체 에너지시스템을 고려했다.

 

탄소 계획상의 저탄소지침들에 의한 환경적 영향이 항상 올바른 선택은 아니라는 것을 연구의 결과가 보여주고 있고, 각각의 저탄소지침들은 환경시스템에 각기 다른 심각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온실가스 배출목표를 맞추기 위한 에너지시스템 변화의 분석은 땅과 물에 대한 에너지 공급의 더 광범위한 영향까지 고려해야만 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2020년 이후 글로벌 온실가스 감축 문제를 논의하는 제 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2015년 파리에서 개최)에서 세계 7위의 온실가스 배출국인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전혀 하지 않았을 때 예상되는 배출량 대비 37%를 줄이겠다는 쉽지 않은 목표를 제시했다. 에너지의 생산과 소비에 대한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온실가스 감축은 한국 경제에 위기이자 기회일 것이다. 특히 풍력, 태양광 발전 등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지속적으로 늘리고, 원자력 발전도 적정 수준까지 배치하여 화석연료에 의한 발전을 최소화 해야 한다. 더불어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신규 화력발전소에는 CCS 기술을 적용하도록 하고, 자동차 산업도 수소, 전기차 등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여 조기에 보급하는 것도 저탄소 계획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저자
D.Dennis Konadu, Zenaida Sobral Mourao, Julian M. Allwood, Keith S. Richards,Grant M. Kopec, Richard A. McMahon, Richard A. Fenn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35()
잡지명
Global Environmental Change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79~390
분석자
김*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