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ACCP 보급촉진을 위한 시스템개선

전문가 제언

HACCP1960년대 초 NASA(미 항공우주국)에서 우주인들의 안전한 식량(식품)을 조달하기 위한 조치로 도입된 시스템으로 이후 확산되어 1989년에는 7가지의 대원칙을 기본으로 하는 지침이 마련되어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식품의 생산단계 부터 소비(farm to table)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제어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착되었다. 더욱이 19937CODEX에서의 HACCP 지침(가이드라인)이 채택되어 세계 각국에 권고함에 따라 자국의 식품안전을 위해서도 세계적으로 매우 빠르게 확산되게 되었다.

 

국내에서는 1995년 식품위생법에 HACCP의 위해 요소 중점 관리 기준 조항을 신설하여 식품위생의 관리 기준으로, 1997년에는 축산물 가공 처리법을 개정하여 도축장과 축산물 가공공장 등도 이 기준이 도입되어 축산물의 안전에도 기여하게 되었으나, 사전 준비 미흡 상태에서 출발한데다 관할 업무의 다원화(보건복지부와 농식품부 등)와 구체적인 중장기 플랜의 부재 등으로 해서 정착되지 못하고 있는 안타까움이 있다.

 

일본에서도 초기 도입 시는 중앙 정부의 힘이 미치는 대기업이나 대형 음식점 등에서 출발했으나, 2013년부터는 식품산업 전 분야로 확대시켜 나가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 실천해 오고 있고, 더욱이 2013和食(화식)의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 지정에 힘입어 대대적인 HACCP 홍보와 정착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어 우리도 참고해야 할 부분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에서는 식품의 범주부터 명확히 해 식품 관련 업종과 업체의 정확한 실태조사와 HACCP 실시 여부에 대한 검증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검증 과정에서 도입과 확산에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무엇보다 강조되어야 하는 것은 HACCP제도는 어디까지나 당사자 스스로 자율적으로 능동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국가적으로도 홍보와 취지, 선진국 사정 등을 정확히 소개시켜 나감과 동시에 국민의 의식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동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저자
Hiroshi Umed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65(8)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7~14
분석자
강*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