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 과정을 통한 섬유의 탄소발자국: 중국 면 셔츠의 사례 연구

전문가 제언

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전 과정에서 온실효과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으로 탄소발자국 평가는 자연환경과 인간 경제개발을 위협하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온실가스 배출을 억제, 관리하는 중요한 접근방법이 되고 있다. “전 과정을 통한 섬유의 탄소발자국: 중국 면 셔츠의 사례 연구를 주제로 하는 본 논문은 중국 면 셔츠를 사례로 하여 섬유제품 전 과정에 걸쳐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분석한다.

 

탄소발자국을 제품에 표기하는 탄소 성적표시제도(Carbon labeling system)는 기후변화 대응을 시행되는 제도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며 저탄소 소비전환을 촉진한다. 본 연구는 중국 면 셔츠의 전 과정에서 추정된 평균 탄소발자국은 8,771CO2e로 산업 생산 공정이 탄소발자국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에너지 소비, 특히 전력이 섬유제품의 주된 탄소발자국이라는 것을 보이며, 소비자가 친환경제품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대체 제품의 미래평가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양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지표로 최근 기후변화 대응전략의 일환으로 국제 사회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탄소발자국의 저감 정책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영국, 일본, 스위스, 프랑스,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탄소발자국 산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유럽연합, 일본은 저탄소제품의 촉진을 장려하기 위해 제품에 탄소 성적표시제도를 도입하였다.

 

우리나라는 환경파괴와 기후변화를 유발하는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탄소발자국제도가 2009년에 환경부의 총괄하에 시행되었고 탄소발자국의 감축을 위해 많은 노력이 경주되어 왔으나,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국가의 하나이고(세계9), 각종 환경지표에서는 OECD국가 중 최하위권을 차지하고 있어 환경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산화탄소 저감 기술 확보와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필요하고, 탄소발자국의 원인인 에너지 이용의 절약과 효율을 증대시키는 에너지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저자
Chenxing W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5
권(호)
108()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464~475
분석자
장*복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