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낙농폐수, 축분의 혐기성 소화로 발생하는 미생물과 이들의 생물비료 이용 가능성

전문가 제언

가축사육의 증가로 축분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이들의 처리문제가 세계적인 관심사로 등장하고 있다. 축분 중에 함유된 고형물은 여러 분리과정에 의해 경지 또는 식물에 필요한 생물비료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축분에 포합되는 폐수의 COD 또는 BOD는 수만/L이고, 질소함량도 높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본고에서는 축분의 고형물과 액상 폐수를 혼합 소화시켜, 생성되는 바이오가스와 미생물군집을 평가하고, 식물재배에 미치는 미생물 바이오매스의 영향도 조사했다.

 

액상폐수와 축분의 비율을 80:20, 70:30, 60:40 50:50으로 유지시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는 80:20의 비율에서 가장 높았고, 휘발성 고형물의 제거효율도 88.6%로 가장 높았다.

 

혐기성 연속 회분식 반응기에 존재하는 미생물군집을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DGGE)로 조사한 결과에서 박테리아와 고세균의 군집이 동시에 관찰되었다. 특히 3종의 메탄생성균으로 구성되는 고세균은 수소, 개미산염과 메탄올에서 메탄을 생성시켜 메탄수율을 제고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화된 폐기물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혐기성 배출수의 오염농도가 증가하면 발아지수가 감소했으나, 식물성장에서는 희석하진 않은 발효액이 희석하거나 물만을 적용시킨 사례보다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국내에서 액상의 축분을 처리하기 위해 MBR, 고도처리 등 여러 공법이 적용되었지만, 고농도에 따른 과도한 처리비용과 유지관리의 난점 때문에 적용되지 못했다. 본고와 같이 고형물과 폐수를 혼합소화하면 오염강도도 크게 저감시키고 생물비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내에서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Jihen Toumi, Baligh Miladi, Amel Farhat, Said Nouira, Moktar Hamdi, Maher Gtari,Hassib Bouallagu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8()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41~149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