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종 기술영역의 복합적 사이버물리시스템(CPS)에 대한 SW구조 엔지니어링 툴

전문가 제언

본고 기술의 특허권자 지멘스는 가상과 현실의 통합제어 시스템(CPS) 구현에 대한 선두주자로 PLM 기반의 100%에 근접하는 정교한 품질능력의 스마트공장(Amberg)을 보유하고 있으며, 관련 솔루션 및 SW 산출물들이 최정상으로 평가를 받고 있어 이 기술의 시사점이 크다. 현재 스마트공장 추진과 공장사물인터넷(IoFT) 혹은 산업 사물인터넷(IIoT)의 추진은 향후 복합적 CPS의 소프트웨어에 대한 엔지니어링 효율성이 경쟁요소가 될 것이므로, 국내 스마트공장 추진에 다 수준의 포괄 성장 정책이외에 SW종속에 대응하는 2단계 선행 정책이 필요하다.

 

본고 기술이 CPS기술력을 배경으로 기존 SW 엔지니어링 툴의 개선을 넘어 SW구조의 종속관계 자동추출에 기인하는 정보의 부하 및 진화 대비 정보 부족까지도 고려한데 러닝 포인트가 있으며, 산업 SW 개발 렌더링, 특히 스마트공장 구축SW 개발 및 검증 과정에서 가치 시현이 예상된다. 모듈성과 객체지향성 기반의 TwinCAT3와 같은 자동화 SW와 MS사 Visual Studio, ADS, EAP, OPC UA를 통합 지원하는 PLM 지향 툴들에 대한 적극적 벤치마킹과 시험 구축, 검증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기존 툴로 GraphViz와 같이 그래프 구조를 명시 및 입력 정보를 토대로 그래프를 생성하는 그래픽 편집프레임 기반의 가시화 툴, GEF로 Eclipse Zest와 같이 SWT/Draw2D에서 개발된 정적 그래프 뷰어로 다수 레이아웃 알고리즘을 갖고 있는 툴과 다양한 렌더링 툴들이 있다. SHriMP같은 유전자 판독을 위한 계층적 가시화 툴과 계층적 구조 맵을 제공하는 Structure101과 같은 툴, Lattix에 의한 종속관계 구조행렬알고리즘, 대량의 코드 측정치 그래프와 종속관계 매트릭스를 통한 가시화 기반의 정적분석 툴인 NDepend 등을 참조할 수 있다. 최근 디자인웍스와 같이 렌더링, 재질, 디스플레이, 어플리케이션 간 공유 및 가상현실 디자인을 SW에 통합하는 툴도 참조 가능하다. 향후 CPS 구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에서 동적이며 가변적인 유연 모듈 제조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동적 모듈 컴포넌트와 프로그램 구성 및 소프트웨어 산출물들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툴들의 통합 플랫폼 화 연계 개발이 필요하다. 산학연의 분발이 요구된다.

저자
Siemens Aktiengesellschaft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WO20150158663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56
분석자
박*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