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및 철거폐기물 관리 - 총체적 환경성 평가
- 전문가 제언
-
○ 이 연구는 건설 및 철거 폐기물 관리시스템의 환경적 성과가 물질흐름분석(MFA), 전과정평가(LCA), 환경적 전과정 비용 측정법(ELCC)으로 평가되었고 최적가용기술(BAT) 방식을 활용하여 성과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했다. MFA, LCA, ELCC의 결과가 BAT로 보충되어 보다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폐기물 관리시스템의 효율성을 발전시킬 수 있는 잠재성을 평가했다.
○ 현재 우리나라의 법 체계 내에서 폐기물은 쓰레기, 연소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카리, 동물의 사체 등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이외의 것인 생활 폐기물, 사업장 일반 폐기물, 사업장 폐기물 중에서 유해한 물질인 지정폐기물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2001년 대비 2009년 폐기물 증가율은 40.6%로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종류별로 살펴보면 9년간 건설 폐기물이 69.0%, 사업장 배출 시설계 폐기물이 28.9%, 지정 폐기물이 11.8%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2009년도 총 폐기물 발생량은 1일 36만 6천 900여 톤으로 건설 폐기물이 5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사업장 폐기물로 33.7%, 생활 폐기물은 13.9% 그리고 지정 폐기물은 2.5%이다.
○ 우리나라의 재활용 비율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2009년 발생 폐기물 중 재활용이 81.1%, 매립 11.3%, 소각 5.5%, 해역 배출 2.0%, 기타 0.1%를 기록했고 건설 폐기물의 경우 97.8%를 재활용했으며 나머지 2.2%는 매립 및 소각처리 되었다. 최근 건설 폐재류 하루 발생량은 약 183,538톤으로 나타나고 있다.
○ 건설 및 철거 폐기물 관리에 있어서 MFA, LCA, ELCC 등으로 평가하고 BAT방식을 활용하여 성과의 다양한 측면을 조사함으로 환경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함이 바람직하며 분별해체 및 분리선별 등 배출단계, 중간 처리단계, 최종 처리 및 재활용 단계에서 단순처리가 아닌 지속적 순환을 고려한 자원순환형 체계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저자
- Helena Dahlbo, John Bacher, Katja Lahtinen, Timo Jouttijarvi, Pirke Suoheimo, Tuomas Mattila, Susanna Sironen, Tuuli Myllymaa, Kaarina Saramaki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07()
- 잡지명
-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333~341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