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두 단계 혐기성 소화를 이용하는 유우분 소스의 회수

전문가 제언

유기물의 혐기성 소화과정에서 가수분해와 산분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바이오가스 생성 수율이 저하되고 있다. 축분 바이오매스에서도 이러한 불균형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험이 실시되고 있다.

 

본고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수분해와 산분해를 분리하기 위해 발효조와 소화조를 별도로 배치하고, 발효조를 거친 축분을 큰 고형물과 작은 고형물로 분리하거나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 종류의 혐기성소화를 별도로 실시했다.

 

바이오가스 내의 메탄가스 함량은 큰 고형물, 작은 고형물과 혼합 고형물에서 각각 57.1, 64.460.9%로 작은 고형물을 소화시킨 경우가 가장 우수했다.

 

소화조의 처리효율을 반영하는 잔류 휘발성 지방산 중에 아세트산 농도가 큰 고형물, 작은 고형물과 혼합 고형물에서 각각 44. 531/L로 작은 고형물을 소화시킨 경우가 가장 우수했다.

 

총 휘발성 지방산 농도는 소화조의 성능을 판단하는 기준인 100200/L 이하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두 단계 소화과정을 적용한 모든 사례에서 바이오가스 내의 메탄 함량은 57%를 초과했다.

 

본 연구에서는 발효된 축분의 고형물을 크기로 분류해서 별도로 소화시킨다면, 메탄 생성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가설에서 출발했지만, 실험결과는 이 가설을 증명하지 못했다.

 

국내에서도 바이오매스를 혐기성 소화로 처리해서 바이오가스를 생성시키고 있지만, 바이오가스 내의 메탄 농도를 50% 이상으로 향상시켰다는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혐기성 소화성과는 기질 조성에 따라 달라지고 축분은 동물사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외국 사례를 참조해서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공법 또는 운전조건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Edmond J. Stow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98()
잡지명
Bioresource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37~245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