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이종채널 동기화로 정확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저가격 DAQ 모듈

전문가 제언

연구실이나 산업현장에서 수행되는 많은 실험에서는 데이터 획득 과정이 필요하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는데 각종기기는 대개 미리 예약된 과정을 수행한다. 특히 대부분의 상용 DAQ(data acquistion)시스템은 특별한 타입의 센서와 엑츄에이터를 사용하는데 엔지니어들은 이종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출력해야 할 장치를 구성할 때 양립되지 않는 하드웨어들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약한 아날로그 입력신호나 미세한 직각위상 엔코더 혹은 변수전류의 출력을 다룰 때 호환성이 안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종 DAQ 하드웨어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을 동기화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 리뷰에서는 새로운 DAQ 모듈로서 베이스보드에서 교환할 수 있는 여러 모듈로서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모듈의 주요한 특징은 모든 소스들을 예측하고 샘플링 속도를 고정하여 이종소스들을 동기화(<1 )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 리뷰는 스페인 Almeria 대학 기계학과의 Jose Luis Blanco -Claracodusr 연구그룹이 제안한 DAQ 모듈을 제시하고 테스트 결과를 정리한다. 제작된 모듈은 최대 200kS/s 샘플링 속도로 8개의 샘플링이 ADC 채널에서 16-bit 분해능으로 수행되며 바이폴라 데이터 입력은 이다. HS USB 통신은 4MB/sFS USB 1MB/s 보다 우수함을 보였다.

 

DAQ 모듈을 적용하는 시스템 연구 분야는 다양한 산업기술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원자력 계측제어를 위한 설계분야(한양대, 2003), X-선을 이용한 영상처리(고려대, 2006), 목포대교 주변의 선박항행정보(목포해양대, 2011), 건설프로젝트 진행(명지대,2008), 진도대교 안전진단(KAIST, 2010) 연구에 모두 DAQ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KAIST의 윤정방교수 연구팀은 미 일리노이대학과 공동연구로 진도대교(사장교)의 안전진단 DAQ 시스템을 발표했다. 연구결과는 이 리뷰에서 중요한 자료(Ref.11)로 활용되었다.

저자
Jose Luis Blanco-Clarac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5
권(호)
15(10)
잡지명
Sensors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27374~27392
분석자
윤*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