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타나이드 발광 탐침을 이용한 병원균의 건조시약 PCR 시험법
- 전문가 제언
-
○ 군사적으로 병원균을 탐지하는 방안에는 생물학전 위협에 대비하여 생물학작용제를 전술 목적으로 탐지하는 방식과 의무부대 중심의 병원체 진단을 위한 탐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어떠한 방식이든지 병원성 미생물을 탐지 내지 동정하기 위해서는 항체 또는 핵산(DNA, RNA, 압타머)을 흔히 생물학 인식물질로 사용하고 있다.
○ 핵산을 기반으로 하는 병원균의 탐지 방안은 감도와 특이성이 특히 양호하여 최근 선호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정 유전자 서열의 상보성 DNA와 교잡화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 PCR 시험은 전문 실험실은 물론 군사적으로도 가장 광범위하게 채택되고 사용되고 있는 분자진단법이다.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고 시장 규머가 넓어 PCR 시스템은 앞으로 진단의 주요 방식으로 자리를 잡아나갈 것이다.
○ 미국에서 병원균의 확인에 군사적으로 PCR 시험법이 이용되는 대표적인 체계는 JBAIDS(Joint Biological Agent Identification and Diagnostic System)이다. 의무부대 및 식품 보급부대에서 운용되는 JBAIDS는 Platinum-Path-Sample-Purification 키트와 열순환증폭기를 주요 구성품으로 하고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는 실시간 PCR 시스템이다. 생물학작용제, 임상 및 식품 병원균의 검출이 가능하다.
○ 실시간 PCR 시스템의 국내 연구개발은 활발하고 기술 수준도 높다. 내열성 역전사 효소, 다중 실시간 PCR, 통합형 병렬 진단시스템, 다양한 검체로부터 동시 진단이 가능한 차세대 PCR 진단시스템 등과 같은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되고 있으며 국내 개발된 PCR 시스템이 군사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2개 중소기업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이고 있다.
○ 이 논문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Pseudomonas 종 및 광범위 세균을 탐지하기 위해 개발된 신속하고 간편한 건조-시약 PCR 시험법에 관한 것이다. 새로이 개발된 전환 가능한 란타나이드 탐침은 신호 대 배경비가 매우 높고 건조-시약의 사용으로 저장과 수송이 용이하여 이 논문의 군사적 가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PCR 시약의 건조 및 저장 안정성과 다양한 시료에 대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 저자
- A. Lehmusvuori, M. Soikkeli, E. Tuunainena, T. Sepp, A. Spangar, K. Rantakokko-Jalava, P. von Lode, U. Karhunen, T. Soukka, S. Wittfooth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18()
- 잡지명
-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64~69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