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슬러지의 호열성 멤버레인 반응기(TMR) 처리
- 전문가 제언
-
○ 하수슬러지의 처리가 최근에 국가적 및 국제적 차원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하수슬러지의 처리문제는 슬러지의 회수, 폐기, 처리비용 등과 관련한 미래의 불확실성 때문에 중요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 활성슬러지 처리에 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폐수처리 플랜트의 전체 운영비에서 슬러지 관리 비용이 50%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하수슬러지가 함유하고 있는 중금속, 유기 오염물질, 병원균 등은 심각한 환경오염의 위협이 되고 있다.
○ 슬러지처리에서 야기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문제들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폐수의 처리단계에서부터 슬러지 생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호열성 멤버레인 반응기(TMR)는 전통적인 활성슬러지 플랜트의 전체 슬러지 라인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며, 기존 플랜트에 적용하여 슬러지의 감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 TMR은 매우 안정된 기술로 다른 종류의 산업폐수도 처리할 수 있다. 슬러지의 감량에 추가해서 본 기술은 산업폐수와 중금속 및 특정 오염물질의 처리에 적합하며, 단일 반응기에서 가동하므로 슬러지 라인이 간단하고, 투과액의 생분해성이 높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 슬러지를 농업에 사용하는 것은 농장의 형태와 기후조건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사용 시기에 제한이 있다. 미래의 추세는 토양에 적용하는 것보다 소각하는 방향으로 갈 것으로 예상되며, 슬러지의 감량화에 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 우리나라도 하수처리량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하수처리플랜트에 적합한 기술의 개발 및 도입이 필요하다. 본 TMR기술은 생물 슬러지처리에 관한 새로운 기술로 여러 가지의 장점을 갖고 있으므로 기술 도입을 검토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 저자
- Maria Cristina Collivignarel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62()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32~138
- 분석자
- 윤*량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