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진단과정에서의 환자 선량 측정용 비결정질 열형광 선량계 특징
- 전문가 제언
-
○ 개인적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건강증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진단방사선 분야에서도 X선 검사횟수가 증가하고 있어서, 인공방사선 피폭 중 의료방사선 피폭이 9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환자선량 평가와 아울러 피폭선량 저감화 노력이 필요하다.
○ 환자선량 측정에 이용되는 선량계 종류로는 전리함, 반도체 선량계, 열형광 선량계(TLD: Thermoluminescence Dosimeter), 광-자극발광(OSL: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선량계, 필름선량계 등이 있다.
○ 선량계로서 갖춰야 할 보편적 특성으로는 에너지 의존성, 선량 의존성 등이 적합해야 하며 선량계별로 요구되는 고유한 특성도 만족되어야 한다.
○ 진단 방사선은 관전압 40~150kVp에서 발생되는 X선이 측정대상이며 유효에너지는 20~70keV 정도 되므로 이 에너지 범위에서 에너지 의존성이 크지 않은 선량계를 채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TLD는 소형이므로 크기에 의한 측정의 불확정도를 많이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인체모형이나 인체에 직접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TLD 물질의 고유원자번호가 조직의 유효원자번호보다 너무 크면 환자선량 측정용으로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 진단 X선 분야에서 다양한 선량계에 대한 국내외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의 외국의 연구동향은 광섬유 선량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 환자선량 측정에 TLD, 전리함 등의 선량계를 이용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왔다. 하지만 광섬유 선량계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새로운 선량계로서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광섬유 TLD도 석영의 유효원자번호가 통상의 TLD 물질보다 유효원자번호가 크므로 에너지 의존성 특성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N.N.H. Ramli,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116()
- 잡지명
-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30~134
- 분석자
- 유*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