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 데이터 보안
- 전문가 제언
-
○ 본 연구는 모바일 데이터에 대해 성능저하 최소화를 고려하는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원격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모바일 지갑, 뱅킹 앱 및 헬스케어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응용기능의 증가는 많은 취약성이 존재하는 사용자들의 민감한 데이터를 노출하고 있어 권한이 부여되지 않은 비권한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모바일 클라우드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안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암호화된 데이터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스마트폰에 저장되며 비권한 자가 접근할 수 있는 스마트폰 메모리에서 계산 처리되므로 스마트폰을 분실하였을 경우 암호화 기술이 기기자체에 존재하기 때문에 비권한자가 데이터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클라우드 구조의 모바일 기기 환경에 암호화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평균처리시간과 가속화 비를 측정 비교한 것은 처리속도 면에서는 의미가 있으나 보안 알고리즘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보안 알고리즘에 대한 기술적 접근도 중요하지만 시장동향에 분석도 요구된다. 즉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업무에 활용하는 기업이 많아지면서 모바일 기기보안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 진흥원자료에 의하면 국내 무선 모바일 보안시장 전망은 작년 580억에서 2015년 말에는 662억으로 증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 클라우드 구조의 모바일 환경에서 인터넷과 클라우드 인프라로 인해 대규모의 데이터가 국경을 초월하여 이동하고 있다. 이에 적절한 대응책은 단순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서만 보안이 강화된다고 할 수 없다. 공격 형태에 따라서는 인터넷 사용자의 이동 단말 및 클라우드에 침입하여 암호화되어 저장된 데이터도 복호화하지 못하도록 하는 파일 접근 불능상태로 만드는 새로운 형태의 공격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산학연관의 강력한 상호공조체제를 구축하여 무선망 인프라 보호 및 원천기술 개발지원을 위한 체계 마련이 요구된다.
- 저자
- Sujithra M, Padmavathi G, Sathya Narayana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47()
- 잡지명
- Procedia Computer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480~485
- 분석자
- 조*팔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