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형광 X선 Kβ 계열 이용에 의한 종양 내 금 나노입자 검출기능 최적 구성

전문가 제언

나노입자는 크기의 단위가 10억분의 1미터인 초미세 입자로서 금, , 실리카, 황화물의 나노입자가 대표적으로, 작은 크기에 기인하는 특이하고도 다양한 성질을 제공하므로 바이오칩, 초소형 바이오센서, 디스플레이 제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네덜란드의 한 연구팀은 금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종양세포를 검출하고 사멸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였는데, 연구팀은 15나노미터 길이의 초소형 금 나노막대를 만들어 여기에다 항체 단백질을 부착하는 것을 성공했고 이를 통해 금 나노입자를 종양세포에 결합할 수 있게 되었다.

 

종양세포에 부착된 금 나노입자를 검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의 한 방법이 X선을 조사할 때에 금 원소에서 방출되는 특유의 형광 X선을 검출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노입자에 광음향 기술이 이용되기도 한다.

 

종양을 사멸시키는 방법으로는 금 나노입자에 적외선이 조사되었을 때 입자들은 빠른 속도로 가열되고, 가열된 나노입자가 종양을 파괴하는 기술도 유럽에서 개발되었다.

 

국내의 나노바이오 분야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분자가 빛을 받으면 고유의 신호를 내는 원리를 이용하여 단백질, 암세포 등을 추적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최근에는 혈전의 주요성분인 피브린을 표적-검출하는 금 나노입자 개발에 성공한 대학 연구팀도 있는데, 연구팀은 뇌혈전의 위치 및 크기를 신속하게 고해상도로 영상화할 수 있었으며 뇌혈전을 녹이는 혈전용해제의 치료효과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고 보고하였다.

 

나노기술은 최근 세계 각국에서 주목받고 있는 분야로서, 바이오분야 뿐만 아니라 전자, 자동차,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나노기술 향상을 위한 더욱 많은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

저자
R.G. Figuero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117()
잡지명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98~202
분석자
유*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