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연구를 위한 바이오프린팅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잉크젯, 마이크로 extrusion, 그리고 레이저 기술에 기반한 바이오프린팅을 고찰하고 3D 암 모델을 2D 암 모델과 비교하고 있다. 그리고 바이오프린팅의 적용에 대해서 논의하고 있으며 또한 바이오프린팅 기술의 개량을 위한 컴퓨터 모델링에 있어서의 최근의 발전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 바이오프린팅은 살아있는 세포를 고도로 복잡한 3D 구조로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 첨단기술은 여러 분야에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살아있는 세포, 생물 거대 분자 그리고 생물물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pattern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기술은 특히 암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2D가 암의 발생에 관해 가설을 제공하지만, 보다 생리학적으로 적절한 결과를 얻기 위해 암세포를 생체 내에서 일어나는 세포 간 그리고 세포와 기질 간 상호작용에 노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3D를 이용한 암 연구로 세포의 제어된 공간분포와 함께 종양 미세 환경과 생물학적 행동에 관해 보다 정확하게 암 조직을 나타낼 수 있게 되었다.
○ 바이오프린팅은 넓은 범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에는 생화학적 표면 patterning과 기초 연구용 3D 조직 구조물의 디자인은 물론 상처 치료용 생물 물질의 프린팅, 재생의학, 질병 모델링 또는 약리학연구 등이 포함된다.
○ 차세대 모델은 보다 작은 접촉각도, 세포의 미세 구조모델 그리고 방울의 복수 patterning을 도입해야 한다. 컴퓨터모델이 바이오프린팅 기술을 암 연구에 도입하는 것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항암제의 전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바이오프린팅 기술은 국내에서도 학계 및 산업계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암 연구 모델링뿐만 아니라 3D 프린팅을 이용한 인공장기 제작에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 미래의 유망 분야로 많은 지원을 하고 있어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 저자
- Stephanie Knowlto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3(9)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504~513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