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u Dhabi의 빌딩부문에서 에너지와 물 효율의 개선 잠재력
- 전문가 제언
-
○ 빌딩의 에너지 관리시스템으로는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BEMS는 건물 에너지의 소비 동향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에너지효율 분석, 건물에 적합한 에너지효율 정책의 수립, 건물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감시 및 제어, 그리고 건물 전체 및 영역별 모니터링, 에너지 사용량, 탄소 배출량의 관리 및 제어 등을 분석 및 예측할 수 있다.
○ 빌딩 에너지 관리시스템의 도입 효과로는 기계설비 에너지 분석,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시설 관리, 에너지 절감 방안의 수립과 효율적인 설비 운영방안 수립 등이며 이를 통해 빌딩 에너지의 절감과 설비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빌딩에너지 관리시스템은 크게 4부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시각화 및 관련 자료, 결함 감지와 진단, 예측 유지 보수, 지속적인 개선 등을 통해 최적화를 기할 수 있다.
○ 2014년 8월에 발표된 Global Information의 빌딩 에너지 관리시스템(BEMS)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의 빌딩 에너지 관리시스템 시장은 2020년까지 56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2024년경에는 108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환경보전 및 에너지 절약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에너지 관리기술에 대한 수요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05년도 한 해 에너지 수입에 사용된 금액이 전체 수입액의 25.5%에 달하여 에너지 수요관리가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부에 의하면 자동형 BEMS를 설치하면 에너지 사용량이 평균 11.8% 감소한다고 한다. 따라서 정부와 업계는 건물의 자동제어시스템이나 전력관리시스템 등의 시스템을 통합해서 건물 전체를 관리할 수 있는 BEMS 보급을 증가시킬 계획으로 있다.
○ 수동형 BEMS는 빌딩 내 에너지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시스템이고 능동형 BEMS는 사용자가 특정 온도나 환경을 설정하면 시스템이 알아서 냉동기, 공조기 등을 활용하여 제일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방안을 고안하는 시스템인데 수요에 따라 적절한 보급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저자
- Sameer Assaf and Mutasim Nou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82()
- 잡지명
- Renewable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00~107
- 분석자
- 오*섭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