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 이동형 로봇 청소기
- 전문가 제언
-
○ 이 자료는 자율이동형 청소 로봇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IROBOT사(미국)가 특허출원한 내용이다. 이 회사는 MIT 연구원 3인이 설립한 로봇전문 벤처기업으로 군사목적 및 가정용(청소용, 잔디깎기용) 로봇에 특화한 기업이며 기업연륜은 25년에 불과하지만 로봇기술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최근 상업적 응용이 확산되고 있는 로봇 진공청소기는 대부분 자율주행형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동경로 탐색, 동작제어, 이동제어, 벽면충돌방지용 센서와 이를 실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응용한다. 이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최단시간에 송수신이 이뤄지는 음파시스템, 광학식 측면탐지센서의 채용으로 스마트 로봇시스템을 지향하고 있는 점이다.
○ 발명의 대표 청구항은 로봇바디, 구동시스템, 음파시스템(음향방출 및 수신기와 배치, 기능), 광학식 측면탐지센서(배치위치 및 기능), 제어시스템(구동시스템?음파시스템?측면탐지센서와의 통신) 등의 구조와 기능의 범위를 규정한다. 특히 로봇이 벽면과의 충돌회피를 위한 거리감지와 충돌회피 실행방법 등을 포함함으로써, 지능화한 스마트시스템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2000년 이후 국내 “로봇 청소기(robotic vacuum cleaner)” 특허출원의 경우, 전체 759건(KIST데이터베이스 NDSL) 중에서 LG전자(305건), 삼성전자(219건: 삼성전자+삼성광주전자) 중심으로 출원이 이뤄지고 있고, ㈜유진, 마미로봇(주), ㈜휴보테크 등 전문 중소기업도 출원하고 있다. 로봇청소기산업은 비교적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외국(미국, 일본, 유럽, 중국)에의 특허출원은 극히 미미한 실적이다.
○ 국내 로봇 청소기와 관련된 연구논문들은 로봇 청소기의 상용화가 활발했던 2000~2010년 기간에 발표되었다. 최근 로봇 청소기의 연구토픽들은 “에너지효율 향상”, “무선측정과 제어”, 로봇 경로계획“, 초음파센서 및 엔코더 응용” 등 지능형, 스마트한 로봇시스템을 지향하는 추세로서 향후 연구결과의 특허출원과의 접목과 산업응용을 기대한다.
- 저자
- IROBOT Corporation(U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9455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53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