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반응고 프레스 단조 가공기술의 실용화와 전개

전문가 제언

종래의 개념에 억매이지 않고 반응고 재료를 프레스와 단조분야에 응용한 반응고 프레스 단조가공기술의 개요와 단조품의 Near net shape화에 의한 제조공정 삭감, 에너지 절감, 자원 절약, 원가 절감 등 높은 성과를 설명하였다.

 

이 방법은 용융금속을 직접 가압 성형한다는 점에서 용탕 단조법 또는 반용융 단조법이라고 부르고 또한 단조와 조합된 주조법이라는 의미에서 Forging casting법 또는 Squeeze casting법이라고도 한다.

 

가압응고주조법 중 고압응고주조법은 1937년에 구소련의 V. M. Plyatski에 의하여 연구개발이 시작되어 1967년경부터는 부품제조 기술로 응용연구가 활발하게 되어 자동차 관련 보안강도부품, 내압부품, 전기제품 등의 알루미늄합금 부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실용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프레스 단조방법은 금속기 복합재료(MMC) 제조에도 응용되며, 1960년대에 보론 섬유강화 6061 알루미늄기 복합재료가 개발된 이후 1970년대에 이르러서 탄소 섬유강화 금속기 복합재료의 제조기술이 이루어졌다. 복합재료를 보면 Boron/Aluminum, Carbon/Aluminum, Al2O3/Al, Al2O3/Mg, SiC/Al 등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1년에 이종남에 의한 Zn-Al합금의 고압주조에 관한 연구가 처음으로 있었고 1976년에는 최창옥에 의한 Al-4.5%합금에 대한 연구발표가 있었다. 그 후 기업체에서 관심을 가지고 자동차 부품 생산에 일부기업이 참여하고 있을 정도의 실정이다.

 

최근에는 한국기계연구원의 부설 재료연구소에 가압주조성형기(Pressured Cast-Forming Machne)가 실험용으로 설치되었다. 이 장비의 제원은 Main ram 700, Clamping ram 250, Bolster 크기 800mm×800mm, 금형 가열온도 최고 500의 장비로 국내에서도 이 분야에 화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

저자
Machuo Chukasa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4)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9~34
분석자
이*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